![](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30/20160530094553642718.jpg)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사진제공 = 해양수산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 관리정책의 추진성과 및 집행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별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평가 제도를 도입한다고 30일 밝혔다.
평가는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을 시행하는 전국 80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광역자치단체는 자체 평가를 실시한 후 1개 단체를 추천하되, 10개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있는 부산시, 전남도, 경남도는 2개까지 추천할 수 있도록 했다.
평가는 정부, 학계, 연구기관, 민간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 예산액·수거실적 등 정량평가(70%)와 계획 수립 및 사업관리의 적절성, 결과의 환류 등 정성평가(30%)로 이뤄진다.
우수 기관 및 사업 담당자에는 해양수산부 장관상 및 국외 업무견학 기회가 수여되며, 타 사업과 연계하여 예산의 우선 배정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연간 17만6000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수거·처리하는 비용만 500억원 이상이 들어간다.
황의선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최초로 시행하는 이번 평가를 통해 지자체의 해양쓰레기 관리능력을 높이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에 유기적인 협조와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해양쓰레기 관리정책에도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