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6월 1~10일 만기인 외국인 보유 채권액은 4조7000억원이다.
종류별로는 통안채 2조9000억원, 국고채 1조8000억원이다.
이번 만기 물량 가운데선 글로벌 채권시장의 '큰 손' 프랭클린 템플턴이 3분의2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는 최근까지 크지 않았지만, 지난 주말 이후로 급반전됐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다.
옐런 의장은 27일(미국시간) 유명 경제학자인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몇 개월 안에 금리를 인상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달러 강세(원화 약세)로 외국인은 우리나라 채권시장에서 적극적인 매수를 꺼리게 된다.
실제로 옐런 발언 이후 3년·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3.5bp(1bp=0.01%포인트)씩 상승했다. 채권 금리 인상은 채권값 하락을 의미한다.
이미 글로벌 채권 투자자금 가운데 일부가 신흥국 시장에서 이탈했다.
글로벌 신흥국 시장 채권 펀드에서만 최근 2주간 7억7000만 달러나 빠져나갔다.
특히 6월에는 FOMC 회의(14∼15일)뿐만 아니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9일), 일본은행 금융정책회의(15∼16일), 영국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투표(23일) 등이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투자자들이 관망할 가능성이 크다.
서향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은 6월 FOMC 결과를 확인하기 전까지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일 것"이라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원화 약세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외국인은 원화 채권 매수 시점을 미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도 "원화 약세와 신흥국 투자심리 악화로 6월 외국인 수급 상황은 우호적이지 않다"며 "FOMC 금리 인상 시그널이 강해지면 채권시장 약세(금리 상승)가 좀 더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더라도 충격은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당장 6월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낮은 만큼, 채권 시장에서 외국인 수급도 갑자기 악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채권값의 안전성이 높아진 것도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미선 선임연구원은 "외국인이 6월 만기 채권을 상환받고서 재투자를 하더라도 미국 FOMC 결과 등을 지켜보고 투자 시점을 늦추는 데 그칠 것"이라며 "외국인 이탈이 일시적으로 시장을 뒤흔들 변수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