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사이니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영상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로 입간판·디스플레이 등을 말한다. 주로 지하철 등 공공장소나 백화점, 대형마트 등 상업공간에 설치돼 있다.
연구소가 개발한 앱을 실행한 뒤 사이니지에서 상영되는 광고의 업소 쿠폰이나 약도, 무료 전자책 등의 정보를 터치하기만 하면 관련 콘텐츠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NFC(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나 와이파이(Wifi)가 설치돼 있지 않은 환경에서도 LTE만 이용할 수 있으면 전송 가능하다.
사이니지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찍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만드는 등 엔터테인먼트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기업은 수요자별 맞춤형 광고로 활용할 수 있고, 재난·안전시스템이나 지방자치단체 공공서비스 개발 등 공공수요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지난달 24일 교내 KI빌딩에서 열린 '제1회 연구의 날' 행사에서 처음 선보였다. KAIST는 중소기업에 기술 이전을 추진중이며, 국내 특허 8건, 미국 특허 1건 등 9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