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부위원장은 2박3일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2일 평양으로 귀국했다. 이번 방중에서 주목할 부분은 지난 1일 리 부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만남이다. 시 주석이 북한 고위급 인사와 만난 것은 지난 2013년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중한 최룡해 당시 북한군 총정치국장을 만난 이후 3년여 만이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과의 만남만으로 북한이 이번 방중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얼어붙었던 북중 관계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양국이 북핵 문제에 있어 이견을 보였지만 양국 간 대화의 분위기가 조성됐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특히 시 주석이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접하고도 비핵화를 언급하지 않아 중국이 북한 끌어안기에 나섰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최근 잇따른 대북 제재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당장의 큰 변화는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위축됐던 양국 교역이 다시 활성화될 경우 제재의 의미가 퇴색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장형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국방관리대학원 학술세미나에서 “중국은 북한 정권의 붕괴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하는 수준 이상으로 대북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북한 경제 봉쇄에 버금가는 포괄적 대북 제재 조치에 중국이 동의해야 제재의 실효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책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무조건 제재와 비핵화에만 집중하는 경직된 자세에서 벗어나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현 대북 제재 국면에서 제재와 협상 회유가 같이 맞물려 돌아가는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며 “변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북한을 끌어내려고 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상당히 도전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정성장 실장은 “북한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도 곤란하지만 그렇다고 북한에게 비핵화에 대한 의지와 실질적인 행동을 곧바로 요구하는 것도 현실적인 접근은 아니다”며 “북한 비핵화라는 최종적인 목표에 도달하기 전에 당장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를 막기 위한 압박과 협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