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일반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에 대해 2013년 95건(초과율 1.1%), 2014년 92건(초과율 3.3%), 2015년 94건(초과율 1.1%)을 검사한 결과 전국 초과율(2013년 7.4%, 2014년 5.8%, 2015년은 2017년 1월 발표 예정) 대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수질측정망은 국가 지하수 수질측정망과 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으로 나뉘며, 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은 다시 오염우려지역과 일반지역으로 나뉜다.
인천시는 이중 일반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을 총괄하고, 각 군·구는 일반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 지점 관리(변경, 행정조치 등), 수질측정결과 토양지하수 종합 정보관리 시스템에 입력 등을 실시한다.
현재는 2016년 상반기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사대상은 군·구별 5개 지점씩 총 50개 지점이며, 조사항목은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제11조 별표4에 따른 생활용수 19개 항목 및 전기전도도이다. 수질검사는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및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일반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에 대한 수질검사는 관내 지하수의 오염 감시와 수질을 파악해 국가 지하수 수질측정망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지하수 수질 현황과 수질변화 추세를 정기적으로 파악·관리해 지하수의 수질을 보전하고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앞으로도 지하수 수질검사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해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