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매년 자주 발생했던 여름철 관련사고 실태를 분석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예방대책 9개 분야 23개 과제를 수립하고 현장행정 중심의 안전점검을 추진한다.
예방대책 9개 분야는 △풍수해 △물놀이 사고 △폭염 △산사태 △식중독 △감염병 △비상급수 △피서지 쓰레기 처리 △감전사고 대책 등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6~8월말까지를 집중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급경사지와 대형공사장, 물놀이 시설, 인명피해 우려지역 뿐만 아니라 기타 각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를 철저히 차단하고 보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 여름은 예년에 비해 더 무더워 질 것으로 예상돼‘취약계층에 대한 폭염대책’을 위해 경로당, 마을회관, 주민센터 등 무더위 쉼터 779개소를 운영하며,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를 활용 독거노인에 대한 폭염정보서비스 제공은 물론 건강상태 확인 등 특별 보호대책도 추진한다.
한편 물놀이 관리지역 9개소에는 안전요원 배치, 구명조끼 비치 등 안전사고 예방조치를 취하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집단급식소 등 집중관리업소 1559개소에 대한 지도 점검과 함께 여름철 성수식품에 대한 합동점검도 병행 실시할 계획이다.
김영호 시민안전실장은 “지난 2월부터 4월말까지 국가안전대진단을 통해 각종 시설물, 건축물, 쪽방촌·고시원 등 사각지대, 석유판매소·저장소 등 위험물 취급소, 유해화학물 등 총7개 분야 1만10개 시설에 대해 민·관 합동 점검을 실시하고, 점검결과 미흡한 시설 257개소에 대한 보수 보강조치를 진행 중에 있다”면서“시민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시민의 재산과 생명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