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일본 정부가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7대 국가전략을 발표하고 적극적인 정책 수립에 나선 가운데 한국도 참고할 점이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동경지부가 6일 발표한 ‘제4차 산업혁명을 선점하기 위한 일본의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앞으로 적극적인 환경 정비, 규제개혁, 기업지원 등을 수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4차 산업혁명은 현재 공장자동화 환경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수집된 정보를 가공·이용하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현실화되는 산업환경을 지칭한다.
일본 정부의 7대 추진전략은 △데이터 활용촉진을 위한 환경정비 △인재육성 및 고용시스템의 유연성 향상 △이노베이션 및 기술개발의 가속화 △금융조달의 기능강화 △산업구조 및 취업구조 전환의 원활화 △제4차 산업혁명의 중소기업 및 지역경제에의 보급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사회시스템의 고도화다.
제4차 산업혁명 주도 전략이 성공할 경우 일본은 2030년까지 연평균 3.5%씩 경제성장을 하고, 570만명 이상 추가 고용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을 단순히 IoT를 기반으로 한 생산시스템 고도화에 국한하지 않고, 국가경제와 사회전반을 변화시키는 국가혁신 프로젝트로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생산인구 감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구조 개혁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와 산업간 고용이전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박귀현 무협 동경지부장은 “생산인구 감소라는 당면과제를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산업구조와 고용구조 개혁과 연계해 해소하려는 일본 정부의 시도는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 동경지부가 6일 발표한 ‘제4차 산업혁명을 선점하기 위한 일본의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앞으로 적극적인 환경 정비, 규제개혁, 기업지원 등을 수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4차 산업혁명은 현재 공장자동화 환경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수집된 정보를 가공·이용하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현실화되는 산업환경을 지칭한다.
일본 정부의 7대 추진전략은 △데이터 활용촉진을 위한 환경정비 △인재육성 및 고용시스템의 유연성 향상 △이노베이션 및 기술개발의 가속화 △금융조달의 기능강화 △산업구조 및 취업구조 전환의 원활화 △제4차 산업혁명의 중소기업 및 지역경제에의 보급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사회시스템의 고도화다.
일본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을 단순히 IoT를 기반으로 한 생산시스템 고도화에 국한하지 않고, 국가경제와 사회전반을 변화시키는 국가혁신 프로젝트로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생산인구 감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구조 개혁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와 산업간 고용이전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박귀현 무협 동경지부장은 “생산인구 감소라는 당면과제를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산업구조와 고용구조 개혁과 연계해 해소하려는 일본 정부의 시도는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