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세미 기자 =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6일(이하 미국 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다. 이는 모디 총리 취임 2년여 만에 4번째 방미로 미국과 인도는 그 어느 때보다 밀착한 관계를 과시하고 있다.
지난 4일 아프가니스탄을 시작으로 5개국 순방에 나선 모디 총리는 6일 저녁 워싱턴에 도착해 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8일에는 공화당 폴 라이언 하원의장의 초청에 따라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도 전할 예정이다.
모디 총리와 미국 정부와의 관계가 좋아진 것은 불과 2년밖에 되지 않는다. 모디 총리가 인도 구자라트주 총리였을 때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의 유혈 충돌 당시 힌두교 국수주의자 모디가 힌두교도 편에 서서 사태를 방관했다는 이유로 모디는 수년간 미국 입국이 금지됐었다. 그러다가 2014년 5월에 모디의 총리 취임 이후 입국 금지가 해제됐다.
짧은 시간 안에 이들 관계가 초밀착 수준으로 발전한 것은 양국의 이해관계가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미국은 F-16 전투기부터 아이폰까지 미국산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거대 시장으로 보고 있고, 모디 총리는 미국 투자를 토대로 제조업 부흥을 이끌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양국 모두 중국의 군사·경제적 힘을 견제하겠다는 공통의 목적도 있다.
런던 소재 킹스컬리지의 하쉬 판트 국제관계학 교수는 “모디 총리 취임 후 미국과 인도와의 관계가 극적으로 변했다”며 “모디는 인도를 글로벌 플레이어로 발돋움시키기 위해 미국을 반드시 안고 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미국으로서는 인도와의 관계 개선에서 모디를 최적의 인물로 꼽고 있다”고 분석했다.
▲ 방위산업 협력 확대
모디 총리의 미국 방문에서는 양국이 방위산업 부문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기 공급국이며, 인도는 사우디에 이어 미국산 무기를 두 번째로 많이 수입하는 나라다. 양국은 강력한 군사적 관계를 통해 인도의 러시아산 무기 의존도를 낮추고 인도양에서 중국의 군사력 증대를 견제하려 하고 있다.
또한 모디 총리는 인도의 현지 군수품 제조업 발전을 원한다. 그는 2027년까지 1500억달러(약 180조원)을 들여 군 현대화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과 인도는 항공모함과 제트엔진 기술 공유에 합의했고 록히드마틴과 보잉은 인도의 100여대 전투기 주문을 따내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지난 4월 양국은 상대국의 군사기지를 자국 군대의 보급과 수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해당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인도가 오랫동안 전략적 자주권을 고수해왔으며, 남중국해에서 항해의 자유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도 분쟁 해역에서 미국의 초계 임무에 동참하지 않는 등 일부 한계도 있다고 분석했다.
▲ 13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 시장
인도는 주요 경제국 중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자랑한다. 특히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어 약 13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는 미국 기업들에게 최고의 기회를 가진 시장으로 여겨진다. 또한 미국은 인도의 최대 수출 시장이자 3대 투자국이다.
월마트, 페이스북, 애플 등은 인도에서 입지 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다. 올해 모디 총리가 식료품 시장에서 외국인 지분 투자 확대를 단행하면서 마침내 월마트는 인도 시장 진출이 가능해졌다.
또한 인도의 원자력 책임법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인해 원자로 제조사인 미국의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은 인도 현지에 원자로 공급을 못 하고 있는데, 일각에서는 이번에 웨스팅하우스의 인도 내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약이 체결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미국은 여전히 인도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규제가 인도 내 사업 운영을 어렵게 한다고 토로한다. 지난 2월 인도 정부는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무료 인터넷 서비스인 프리베이식스가 선별적 자료를 통해 사용자 지식과 관점이 편향될 수 있다며 이용을 불허했다. 또한 애플에는 현지에서 30% 이상 부품을 생산해야 애플 스토어 오픈을 허가한다고 밝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폰 시장의 높은 장벽을 일깨웠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번 회담에서 기후 변화 대응과 청정에너지 확산 등도 주요 의제에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