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도 ‘유령 국회’로 첫발…의장단 선출 불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07 18: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20대 국회 원구성 법정시한을 하루 앞둔 6일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왼쪽부터)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당 김관영, 새누리당 김도읍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여야가 국회의장단 선출 법정시한인 7일에도 원(院) 구성 협상에 실패하면서 20대 국회도 ‘유령 국회’ 로 첫발을 딛게 됐다. 국회의장단은 고사하고 각 상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은 전날 원 구성 협상을 계속해 이날 본회의를 열어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려 했으나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서로 국회의장직을 차지하려고 대립하면서 법정 시한을 어기게 됐다.

여야의 대립각이 첨예해지면서 ‘국회의장 자유투표’ 카드가 재부상, 진통이 더해졌다. 국민의당이 3당간 협상에 진척이 없자,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각 당의 국회의장 후보를 확정한 뒤 ‘본회의 자유투표’로 국회의장을 결정하자는 제안을 했고, 이를 더민주가 수용한 것이다.

이에 새누리당은 “협상하자면서 또 판을 깨자는 것이냐”며 즉각 반발했다.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장 선출은 관례대로 (여야) 합의 하에 표결처리 하는 것”이라고 못 박았다.

앞서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지난달 31일 국회의장 후보를 각자 내고 자율투표 하기로 합의했으나, 새누리당이 “야합”이라고 반발하면서 협상이 난항에 빠졌다. 결국 6일 더민주의 유감표명으로 엿새 만에 협상이 어렵사리 재개됐다.

그러나 협상재개 하루 만에 또 다시 여야 대치국면이 되면서, 이날 예정했던 본회의 소집과 국회의장단 선출은 사실상 무산됐다. 여소야대(與小野大)와 3당 체제를 구축하며 새 출발을 다짐한 20대 국회 역시 13대 국회부터 이어져온 ‘지각 개원’의 구습을 반복하게 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여소야대·제3당 변수로 인해 역대 국회 중 가장 늦게 원 구성이 이뤄질 것이란 비관론도 제기된다. 현재까지 국회의장을 어느 당에서 맡을지조차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데다, 국회의장을 가져가는 당에서 그 대가로 양보할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도 정당별 셈법이 크게 엇갈리기 때문이다. 당장 이날 국회의장단 선출조차 불발되면서 ‘일하는 국회’의 일터인 상임위원회 구성 논의도 교착 상태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한편 국민의당은 이날 원 구성 법정시한을 넘긴 것과 관련해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해 소속 의원의 세비를 반납하자는 지도부의 의견을 전체 당론으로 채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