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현행법상 기본권의 주체는 인간으로 한정돼 있어, 향후 비즈니스 영역의 콘텐츠 제작을 상당부분 차지할 인공지능 결과물이 보호 받을 수 있는 법률 제개정이 하루빨리 뒤따라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는 최근 발간한 ‘인공지능의 법적 쟁점– AI가 만들어낸 결과물의 법률 문제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SPRi는 이 연구에서 인공지능의 주요 구현수단인 빅데이터의 활용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문제,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결과물의 저작권 귀속 문제 및 인공지능이 코딩한 SW의 특허권 문제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 “인공지능이 대중화 하면서 야기될 수 있는 윤리적 정치적 문제에 대응하는 것 만큼이나 지식재산권 등 법률적 안전장치 마련도 중요하다”며 “AI 시대를 대비한 법 제도적 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빅데이터 분석으로 렘브란트의 작품의 속성을 분석해 3D로 구현하는 등 인공지능은 인간의 영역을 재구성할 가능성이 작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윤명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박사는 “향후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라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한 법적 안정성을 위해 저작자 내지 발명자의 지위를 법적으로 명확히 하는 입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