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7월부터 장기요양수급자가 집에서 요양과 간호, 목욕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런 내용을 담은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 추진계획이 지난 9일 '제4차 장기요양위원회'에 보고, 7월부터 6개월간 시범사업에 돌입한다.
시범사업 대상자는 서울·부산·군산·강릉·제주 등 전국 22개 지역의 30개 통합재가기관 이용자 300명이다.
장기요양수급자의 85%는 2개 이상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어 적절한 의료나 간호서비스가 필요하지만, 실제론 71%가량의 이용자가 집안일을 돕는 방문요양만 받고 있다. 방문요양, 방문간호 등을 각각의 기관이 제공하는 문제점도 지적돼 왔다.
통합재가서비스는 수급자(가족)가 서비스를 신청하면 통합재가기관이 서비스 제공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방문요양은 한 번에 장시간(4시간) 들르는 대신 수급자의 필요에 맞춰 단시간(1~3시간) 수시로 방문하고, 방문간호는 주 1~2회 시행한다.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이 팀을 꾸려 수급자의 상태 변화를 함께 대응하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범사업을 통해 수급자의 만족도, 서비스 효과성 등을 평가해 본 사업 추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
복지부 관계자는 본 사업 도입 시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점검하는 계기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