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9월까지 이 같은 골자의 '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오염도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돼 왔으나 2013년부터 정체되었고 국민의 체감 오염도는 나빠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관계 부처가 추천한 산·학·연 전문가로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 오는 17일 착수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부 이행계획 중 가용예산 확보 등으로 올해 착수가 가능한 과제들은 우선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먼지 발생·유입 △미세먼지 측정·예보 △미세먼지 집진·저감 △국민생활 보호·대응 등 4대 부문별로 연구결과의 실증·보급 및 국민생활 적용, 관련 산업 육성 등을 구성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발생·유입에 있어서는 국내외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미세먼지 측정·예보를 위해 초소형·초정밀 측정장치 및 이동형·입체 관측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미세먼지 집진·저감을 위해서는 무동력·저전력·대용량 집진기술을 확보하고, 국민생활 보호·대응 차원에서는 착용형·창호형 정화장치 등 미세먼지 노출 예방기술을 구축하기로 했다.
그간 피해저감 등 부분적으로 미세먼지 연구를 진행해왔던 것과 달리, 이번 세부 이행계획에서는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모든 이슈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겠다는 포석이 깔려있다.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국민생활 적용 및 관련 산업육성까지 포함해 과학기술기반의 국민생활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기획위원회는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미세먼지 관련 연구실적과 성과를 종합하고, 그동안 전문가들이 제안해 온 연구과제를 검토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과제별 연구 우선순위, 연구방법, 투자 규모, 연구 추진일정 등 세부적인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관계 부처의 석탄화력발전, 경유차 미세먼지 감축 정책등과 병행해 과학기술 기반의 효과적인 미세먼지 솔루션을 개발·적용하겠다"면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국민체감형 연구개발(R&D)을 강화해 삶의 질과 편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