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유기농업특구 지역에 "투구새우" 서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17 10: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홍동면 운월리 논 3,000㎡ 면적 곳곳에서 발견 -

▲긴꼬리투구새우[사진]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홍성군은 '살아있는 화석생물'로 알려진 긴꼬리투구새우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홍동면 운월리마을은 대표적인 친환경 농법으로 벼를 재배하는 지역으로 김중호씨가 재배하는 3,000㎡ 면적 곳곳에 긴꼬리투구새우가 서식하고 있다.

 예전에는 웅덩이나 논 등에서 서식했으나 농약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거의 자취를 감쳐지만 지난해부터 홍동면 운월리와 문당리 일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이 청정지역이라는 것이 다시한번 입증됐다.

 이 지역은 ‘친환경농업의 메카’답게 타 지역보다 친환경농업이 활발한 지역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농업면적 중에서도 일체의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가장 높은 단계의 친환경농업인 유기농업 면적 비중이 전체의 84.9%인 698ha에 이를 정도로 유기농업이 발달한 곳이다.

 이로인해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우렁이와 오리 등을 이용해 농사를 지어 2014년에 전국 최초로 유기농업특구로 지정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이 곳에서 8년째 농사를 짓고 있는 김중호씨는 “다른 농민들과 함께 모내기가 끝나는 대로 서식하고 있는 투구새우 유충을 채취해 다른 지역으로 옮겨 내년에는 더 많은 투구새우가 번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긴꼬리투구새우는 고생대 화석과 현재의 모습이 흡사해 '살아있는 화석 생물'로 불리는 갑각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