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전철 인천역 배후지역을 1부두로 정하고 시계방향으로 내항을 삥 둘러 순서대로 8부두까지 명명한 인천항은 부두별로 취급품목을 정해놓고 부두를 운영하면서 국가수출 및 수입 산업화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지역경제의 핵심이 된다.
이들 부두에서는 1부두(11선석)=원목,2부두(7선석)=철재,3부두(7선석)=잡화,4부두(5선석)=콘테이너,5부두(4선석)=자동차,6부두(6선석)=펄프,7부두(4선석)=양곡,8부두(4선석)=고철등을 다루게 된다.
또 2000년에는 연안항에 제1국제여객터미널이 들어서고,2002년에는 내항에 제2국제여객터미널이 들어서면서 명실상부한 인천항의 최대 전성시대를 맞게 된다.
에컨대 연간 화물처리능력이 4019만톤인 인천내항의 2012년 화물처리는 3160톤이었고,2013년에도 3051톤에 그치는등 전체 가동율이 70%대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내항 전경[1]
여기다 주민들의 계속되는 내항 재개발 요구가 한데 어우러지면서 해양수산부는 드디어 2013년5월28일 항만기능 재편에 따른 부두재배치의 일환으로 ‘항만재개발사업 로드맵’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 로드맵의 골자는 내항을 잡화부두로 항만기능을 재편하면서 1·8부두의 잡화기능을 4부두로 대체 이전하고 철재부두인 2·3부두를 잡화부두로 일부기능을 재조정하며 1부두의 여객터미널을 2017년까지 남항으로 이전하면서 8부두는 2015년까지,1부두는 2017년까지 친수공간으로 주민들에게 전면 개방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내용을 접한 지역주민들은 해수부의 재개발 취지는 적극 찬성하지만 여객터미널의 남항으로의 이전은 가뜩이나 공동화 되어가고 있는 구도심의 공동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지역 상권을 더욱 위축시킨다며 강력한 반발에 나서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여객터미널 이전 사업은 당초 계획대로 실행해가는 해수부가 1·8부두 개방은 차일 피일 미루며 사업이 지연되는 사태가 발생했고, 기대감을 갖고 사업을 주목해 오던 지역주민들의 반발 수위는 계속 높아져만 갔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2015년 3월9일 항만재개발사업을 고시하고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서며 내항개발의 물꼬를 틀 계획을 세웠다.
고시내용의 골자는 △소요예산=400억6200만원(국비34억5900만원,시비288억4600만원,인천항만공사77억5700만원) △재개발면적=29만1731㎡(8부두:14만2596㎡,1부두:14만9135㎡) △해양문화관광지구=10만3495㎡(35.5%) △공공시설지구=18만8236㎡(64.5%)등이었다.
하지만 상업공간(해양문화관광지구)은 적고,공공부문의 공간이 너무 많아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기업들이 단 한곳도 공모에 응모하지 않았고 결국 해수부의 재개발 공모는 무산되고 말았다.
그사이 8부두의 기능이 정지된 가운데 내항이 중고자동차의 야적창고로 변모되면서 주민들의 친수공간은커녕 재개발에 또다른 장애요인으로 변질되고 말았고 재개발사업은 휴면상태에 접어들었다.
이에 주민들은 또다시 해수부 및 관계기관의 무성의한 사업진행을 비난하면서 시급한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