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발표에 따르면 IS는 국내 미국 공군시설 및 우리 국민을 테러대상으로 지목하고 시설 좌표와 신상 정보를 메신저로 공개하며 테러를 선동했다. IS는 오산, 군산 소재 미국 공군기지의 구글 위성지도와 상세 좌표 및 홈페이지를 공개했으며, 국내 복지단체 직원 1명의 성명과 이메일, 주소 등도 공개했다.
IS가 공개한 복지단체 직원은 경기 광명시에 살고 있는 평범한 여성으로, IS나 테러와 연루될만한 일은 없었다고 정보당국에 밝혔다. 이 지역 역시 평범한 민간 주택가로 군사기지나 종교시설이 있는 곳도 아니다. 다만 이 여성은 미국에서 학위를 마치고 국제 환경단체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S가 평범한 민간인을 테러 대상으로 지목한 것은 IS에 대한 공포를 조장해서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IS 퇴치에 나서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IS가 공개한 테러 대상 한국인 명단에도 기업 홍보팀 직원이나 테러와 무관한 업무를 맡은 공무원이 포함됐다.
하지만 테러 대상을 가리지 않는 IS의 특성상 우리 국민도 언제든지 테러를 당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IS는 ‘악마의 연합국’에 한국을 포함시키며 위협의 강도를 조금씩 높여가고 있다.
국민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는 국민들을 향해 철저한 대비를 약속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20일 간부회의를 통해 “IS가 지난해 9월부터 우리나라를 테러 타깃으로 거론하고 있는 만큼 실체적 위협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테러 대상으로 지목된 우리 국민에 대한 신변보호를 강화하고 총리실 대테러센터를 중심으로 관계 기관이 테러 위협 차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도 이날 “관련 기관으로부터 첩보를 받아서 한미연합사령부에 통보했고 필요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한미연합사의 방호 요청이 있으면 주한미군 경계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수동적인 대처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주한미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지원하겠다’는 군의 발표는 커지는 국민들의 불안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안이한 대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IS가 테러 대상으로 지목한 오산과 군산 공군기지는 공군 작전사령부와 제1중앙방공통제소가 위치해있는 등 우리 영공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다. 더구나 복지단체 직원의 영문 이름과 이메일, 옛 거주지 주소 등 신원정보는 국정원 발표로 그대로 세상에 노출됐다.

[사진=JTBC방송화면캡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