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소식통은 "7월 중순쯤 가야 재단 출범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31일 출범한 재단설립준비위는 김태현 위원장을 중심으로 재단설립을 위한 준비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정관 작성 등 준비작업에 당초 예상보다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준비위는 정관이 확정되면 이를 바탕으로 여성가족부에 재단설립 신청을 내고, 여가부의 허가를 거쳐 공식 출범 절차를 밟게 된다.
또 위안부 합의에 반발하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나 나눔의 집 등 피해자 지원단체와 이들 단체에 거주하는 피해자 할머니들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하는 작업도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김 위원장은 피해자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기 위해 취임 이튿날부터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는 소통 행보를 시작했으며, 그동안 개별거주 피해자 할머니들 가운데 상당수를 이미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