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P연합]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이번 주 실시되는 영국의 브렉시트 (유럽연합 탈퇴)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을 예상된다. 만약 영국이 EU를 떠난다고 결정하면 유럽 전체의 정치·경제적 기반이 흔들릴 것이며, 남는다고 해도 영국은 물론 유럽 전반에 균열이 많이 간 상황이라 예전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기는 힘들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이 2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 EU와의 협정 모두 다시…빨라도 2018년 탈퇴 예상
영국이 탈퇴를 결정할 경우, 이미 경제둔화, 부채, 그리고 대규모의 난민 등의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는 유럽에 더욱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영국이 떠날 경우 유럽전체의 권력 균형지형이 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영국 대 EU로 새롭게 관계설정을 하는 과정에서 양측 모두 엄청난 인적·물적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브렉시트 찬성으로 결정이 날 경우 누가 주도권을 잡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잔류와 탈퇴 어느쪽이 주도권을 잡더라도 영국은 EU와 인적·물적 교류에 대한 협정을 모두 다시 맺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더라도 EU 탈퇴의 시기는 2018년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외신들은 전망했다.
한편 브렉시트 국민투표는 결과에 상관없이 유럽에 큰 정치적인 충격을 줬다고 WSJ은 전했다. 그동안 일부의 유럽 정치인들은 EU가 유럽연방으로 가는 수순에 있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브렉시트로 인해 유럽에는 다시 EU의 미래상을 둘러싼 논쟁이 뜨기워지고 있다.
독일의 쇼블레 재무장관은 21일 "영국의 EU 이탈은 독일뿐만아니라 역내 경제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영국이 남더라도 유럽은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로그룹의 데이셀 블룸의장은 "EU의 시스템 개혁을 위해서는 역내 정치적 통합의 강화보다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 등을 활용 경제적 번영과 안보 역량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ECB의 드라기 총재는 유럽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브렉시트가 발생할 때 금융시장 안정과 경기안정을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적완화 프로그램의 가동 가능성도 열어놓은 것이다.
◆ 영국 계층간 세대간 대립격화…사회적 불만과 정치적불안 계속
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건은 21일 브렉시트에서 찬성과 반대의 표차는 근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달 초에는 탈퇴여론이 상승하고 있었지만, 잔류를 지지하는 노동당 콕스 하원의원이 피살되면서 여론이 반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투표 직전까지 결과를 예상하기란 불투명하다고 JP모건은 강조했다.
이처럼 찬반의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영국 사회 내부의 분열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계층간 세대간의 의견 대립이 격화된 상황에서 투표결과와는 상관없이 사회적 불만과 정치적 불안이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젊은층은 브렉시트에 반대하지만,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찬성여론이 높다. 노동자 계급들은 이민자들이 일자리를 뺏어간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브렉시트에 찬성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도 브렉시트를 둔 시각은 반대다. 대기업들은 브렉시트에 반대하며, EU에 남자고 주장하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탈퇴를 외치고 있다. 대기업들은 EU에서 나올 경우 규제와 무역, 이민부문에서 불확실성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브렉시트에 반대를 표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EU의 규제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다는 이유로 브렉시트를 지지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처럼 사회·경제적으로 양분된 사회에서 앞으로 투표결과가 결정된 뒤에는 영국 사회통합이 가장 큰 과제로 부상할 것이라고 외신들은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