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신공항 관련 5개 시·도 중진의원 간담회에 참석한 정진석(오른쪽부터) 원내대표, 유승민, 최경환 의원이 민경욱 원내대변인의 제안으로 손을 맞잡고 있다.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이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이 난 신공항 건설에 대해 수용 방침을 밝혔지만, 일부 지역 의원들은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22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신공항 건설과 관련해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해당 지역 시·도 중진의원들과 최정호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의원들 간 목소리가 다소 엇갈리며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졌다.
유승민 의원은 모두발언을 통해 "김해공항에 대해서 그 동안 일관되게, 오랫동안 안전문제 등을 들어 허브 공항으로 쓰기는 불가능하다고 정부 스스로 얘기해왔고, 특히 부산에서도 그런 주장을 해 왔다"면서 "그래놓고 김해공항 확장이 갑자기 최선의 대안이라고 하니까 이 점에 대해서 부산, 대구 주민들께서 납득을 못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계속 안 된다 하다가 갑자기 최선이라고 하니 다들 어안이 벙벙한 상태"라며 "김해공항 확장에 드는 철도, 고속도로 인프라 예산이 6000억원이라고 했는데 이는 충분한 예산이냐"고 덧붙였다.
그러자 다음으로 마이크를 잡은 최경환 의원은 "국제적 용역업체에서 경제성이나 기술적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이것(김해공항 확장)이 최적의 대안이란 결론이 났기 때문이 그 점에 대해서는 대승적으로 수용을 해야되지 않겠나"라며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정치권이 나서서 지역주민들의 다소 서운한 감정을 자꾸 부추긴다든지 해선 안 되겠다"고 맞받아쳤다.
최 의원은 "어떤 의미에서는 정치권이 지역 주민들한테 설명도 드리고 이해를 구하고 하는 그런 자세를 보여야 되지 않겠나"라며 "사실상 새로운 공항을 짓는다는 개념에 가까운 확장으로 정부에서도 이게 건설되면 국제 허브 공항으로서 잘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 직후에도 유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지적한 부분에 대해 "신통한 답변을 못 들었다"고 한 반면, 최 의원은 "대승적으로 수용해야되지 않겠느냐는 의견들이 주를 이뤘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여타 의원들도 다소 입장들이 달랐다.
조경태 의원은 "김해 신공항 건설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명실공히 확장의 문제가 아니라 신공항으로 받아들이겠다"면서 "저는 토목공학 박사인데 토목공학적 해석으로 봤을 때 불가능한 것은 없다"고 수용할 것을 강조했다.
이주영 의원 역시 "대구·부산의 요구사항이 100%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최대 만족은 아닐 수 있을지라도 대안으로서는 상당부분 수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정부에서 그런 불만족을 해소시켜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달리 김도읍 의원은 "명실상부한 국제공항이 되기 위해서는 안전성과 24시간 운항 가능성이 기본 요건이자 필수 요건"이라며 "김해공항 확장 불가론을 폈던 국토부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을 냈는데 소음피해 제로, 24시간 운항 가능한 공항, 안전한 공항 이게 과연 가능한지 강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꼬집었다.
회의를 주재한 정 원내대표는 앞서 모두발언에서 "(정부 결정은)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생각하고 저희 당은 대승적으로 정부 발표를 수용하고 뒷마무리를 해나가는데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저 개인적으로 최근 국토교통부가 한 일 중 가장 잘 한 일"이라며 "김해공항 확장이라는 표현보다 김해 신공항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고도 말했다.
한편 김무성 전 대표는 "정부의 발표를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면서 "평소에도 신공항 문제에 정치권이 지나치게 개입해선 안 된다는 소신을 밝혀왔다"고 말했다고 정 원내대표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