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13일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 회원들이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국민은행 앞에서 열린 ‘맞춤형 보육 시행 반대 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들은 “보육교사의 고용안정을 위협하며 학부모·교사·영아를 차별하는 맞춤형 보육정책 시행 철회"를 요구하며 “보육교사 고용안정을 위한 반별인건비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조현미·엄주연 기자 = 전국에 있는 민간어린이집 1만여곳이 정부의 맞춤형 보육 시행에 반대하며 23~24일 집단 휴원을 강행한다.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은 22일 "연합회 소속 전국 1만4000여 어린이집 중 1만곳이 내일부터 이틀간 휴원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한민련은 "이미 어린이집 학부모들에게 휴원을 알리는 안내장을 발송했다"며 "휴원 기간 동안 거리집회와 기자회견 등을 지역별로 가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가정어린이집 단체인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한가연)도 23∼24일 휴원을 앞두고 있다. 국내 가정어린이집은 2만2000여곳에 달한다. 이 단체 임원들은 지난 15일부터 부분 단식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전체 어린이집은 4만3000여곳으로,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은 전체의 90%가량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들 단체가 휴원을 강행할 경우 보육대란이 불가피하다.
어린이집 최상위 단체인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한어총)도 집단 휴원을 고려하고 있다.
한어총 관계자는 "24일로 예정된 맞춤형 보육 관련 보건복지부 발표 이후 전국 어린이집 휴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맞춤형 보육은 48개월 미만 자녀를 둔 홑벌이 가구는 하루 7시간까지만 무상으로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제도로, 다음 달부터 시행된다. 어린이집들은 수익 악화, 전업주부 역차별 등을 이유로 제도 시행을 반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