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건설사 수익성 개선됐지만 유동성은 악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27 15: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동비율, 전년동기대비 10.7%p 감소, 자금난 심화


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지난해 주택경기 회복에 따라 건설업체들의 수익은 개선되고 있는 반면 금융권의 투자와 대출 축소 등으로 자금난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건설협회에서 조사·발표한 올해 1분기 기업공개 건설사(120개사)에 대한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과 순이익 등 수익성 지표는 개선됐지만 안정성 지표인 유동비율은 감소하는 등 자금 압박이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정성 지표의 경우 유동비율이 전년동기 대비 10.7%포인트 감소한 110.1%로 나타났고, 부채비율은 168.6%에서 162.9%로 5.7%포인트 줄었다. 이는 수주산업 회계 투명성 방안과 관련한 공시기준 강화로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대기업에서 만기도래 회사채를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 등으로 상환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성장성지표를 보면 국내건설매출이 32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20.1% 증가하였고, 수익성 지표중 매출액영업이익율과 세전순이익율은 각각 1.6%에서 3.5%로, 1.0%에서 4.7%로 개선됐다. 이는 작년 부동산 경기 호황에 따른 주택 수주실적 증가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자보상비율은 건설업이 5대 취약업종으로 분류됨에 따라 금융권에서 대출 및 투자를 축소해 자금 조달시 타업종보다 높은 금리를 부담하는 등으로 인해 이자비용은 증가했으나 지난해 실적 증가로 영업이익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커져 이자보상비율이 227.8%로 전년동기대비 119.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100% 미만 업체는 42개사로 전년동기 대비 17개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장기 침체를 겪었던 건설업계가 최근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른 실적 증가로 수익이 다소 증가되는 등 경영상태가 개선되고 있으나, 건설업이 취약업종으로 분류됨에 따라 건설업체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기업공개 건설사 건설업 경영상태의 자세한 내용은 대한건설협회 홈페이지(http://www.cak.or.kr)> 통계> 건설경영분석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