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오른쪽)와 박지원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화하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박 원내대표는 내년 초로 예정된 차기 전당대회 때까지 비대위원장을 맡아 당을 수습하고 재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국민의당은 이날 오후 6시 국회에서 긴급 최고위 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이같이 정했다고 손금주 대변인이 기자들과 만나 밝혔다.
손 대변인은 박지원 비대위원장 카드의 최초 제안자는 이상돈 최고위원이었다고 전했다.
박 원내대표는 ‘전대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선정될 때까지 존속한다’는 당헌·당규에 따라 내년 초 전대 개최 시점까지 비대위원장 임기를 수행하게 된다.
손 대변인은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할 경우, 두달 안에 임시 전대를 개최해야 하는데 당 사정상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이에 따라 비대위 규정이 적용됐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 임명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신속하고 질서 있는 당내 수습이 필요하다”며 “소속 의원들과 새로운 비대위원, 원내부대표단, 김성식 정책위의장 등과 튼튼한 원내 중심의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번 총선 홍보비 파동에 연루된 핵심인물인 박선숙·김수민 의원에 대한 처분과 관련, “그 분들이 (의총에) 참석하는 건 우리가 제약할 수 없지만 그 분들 스스로 참석 안 해주길 바란다. 그런 의사를 제가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자진탈당을 재권유하겠다느냐는 질문에는 “일사부재리 원칙으로 (기소 뒤 당원권정지가) 이미 결정된 것”이라며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을 했지만 그 외에 선택의 길이 없었다는 걸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두 의원에게 자진탈당을 권유했으나, 두 의원이 거부했다고 소개한 바 있다.
그는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당권 도전은 어떻게 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아직 얘기할 때가 아니다”라며 “질서 있고 신속한 당내 수습이 문제이기 때문에 제 개인의 정치일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을 아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