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마을민속' 문화를 탐색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7-03 09: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립민속박물관, 다음 달까지 두 차례 '마을민속을 찾아서' 프로그램 운영

'강다리기' 체험[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사라져가는 마을민속 문화를 탐색하는 프로그램이 실시된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은 오는 8월까지 두 차례 '민속문화의 해' 사업과 연계한 '마을민속을 찾아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교육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펼쳐진다. 

프로그램은 용암리 할아버지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마을 이야기로 시작한다. 참가자들은 할아버지들과 함께 용암저수지(고복저수지)를 걸으며 저수지에 잠긴 옛 마을이야기를 듣고, 용이 살다 승천했다는 용바위, 병을 고쳐주던 참샘 등에 얽힌 전설도 들을 수 있다.
 
'강다리'는 줄다리기를 이르는 이 지역의 말이다. 보통 마을 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에 이루어지지만, 용암리의 강다리는 다음 날인 열엿새에 이루어진다. 그 모양도 수많은 가지가 방사형으로 퍼져있는 형태로 독특하다. 용암 강다리기는 세종시의 대표 민속으로 ‘2016 세종민속문화의 해’ 엠블럼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이번 교육에는 마을 주민과 함께 직접 강줄을 꼬아보기, 실제 사용하는 커다란 강줄로 강다리기를 해보기 등의 체험행사가 마련된다.
 

비암사 전경[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프로그램은 용암 강다리기의 유래를 따라 인근 사찰인 비암사(碑巖寺)를 방문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비암사는 삼국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국보 제106호인 '계유명전씨아미타삼존석상'이 발견된 곳이다.

오는 23일과 다음 달 27일 진행되는 이루어지는 마을민속 교육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누리집(www.kidsnfm.go.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초등학생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