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금융감독원 제공]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5월 말 현재 원화대출 연체율은 0.74%로 4월보다 0.1%포인트 뛰었다.
작년 11월(0.74%)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종합유선방송 업체인 딜라이브(옛 씨앤앰)의 인수금융과 관련해 이 회사를 인수한 특수목적법인(국민유선방송투자회사)과 대주단간 협상이 지연되면서 신규 연체가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95%로 같은 기간 0.08%포인트 늘었다.
다만 지난달 말 딜라이브 인수금융 대주단이 채무재조정안에 동의하면서 해당 연체는 해소된 상태라고 금감원 측은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국민연금 등 딜라이브 인수금융 관련 대주단은 인수금융 2조2000억원 중 800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나머지의 만기를 3년 연장하는 내용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7%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은 0.27%로 4월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집단대출의 연체율은 0.42%로 전월 말 대비 0.02%포인트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61%로 한 달 새 0.04%포인트 올랐다.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저금리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