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7/20/20160720133259360658.jpg)
[▲20일 게임이용자보호센터 출범식에서 이경민 센터장(앞줄 왼쪽 셋째)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게임 이용자 권익보호를 목표로 민간단체인 게임이용자보호센터가 공식 출범했다.
특히 고스톱 및 포커류(고포류) 게임 민원 대응과 불법 게임물 모니터링, 게임 관련 분쟁조정, 게임 과몰입 대응 등 건강한 게임문화 조성에 이바지하겠다는 방침이다.
20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게임이용자보호센터는 출범식을 열었다. 게임이용자보호센터는 게임문화재단 산하 통합 이용자보호기구로 지난 18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민관합동 '게임문화 진흥계획'의 일환이기도 하다.
초대 센터장으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뇌과학 연구 권위자로 인정받는 이경민 교수가 취임했고, 시민단체와 학계, 기관, 법률전문가 등 각계각층이 모였다.
이경민 센터장은 "센터는 게임이용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최접점 기구를 지향한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이용자 보호기구이자 객관적 감시기구로서 책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은 "한국 게임시장은 너무 많은 걸림돌과 제약이 있다. 이는 게임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과 게임은 무조건 나쁘다는 부정적 인식에서 출발한다"며 "센터가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고, 즐겁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사회안전망을 만드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고 축사를 전했다.
출범식에는 △웹보드게임 통합민원 대응 △불법 게임물 신고포상 및 모니터링 △자율규제 정착을 위한 법·제도 연구 △게임과몰입 관리 등 센터의 운영계획이 발표됐다. 또 10명의 자문위원에 대한 위촉식도 진행됐다.
자문위원으로는 중독예방시민연대 김규호 상임대표, 무지개가족치유센터 강신성 이사, 숭실대학교 김동호 교수, 중앙대학교 이정훈 교수,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이원재 박사, 게임물관리위원회 정래철 사무국장 대행, 법무법인 디카이온 홍원의 변호사, 법률사무소 상생의 백주선 변호사, 법무법인 화현의 하성화 변호사 등이 위촉됐다.
이 센터장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업계가 자발적으로 자율규제를 도입하고 정착화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센터는 불법 게임물 등을 조사하는 모니터링팀, 게임 이용 관련 이용자 민원 등을 담당하는 분쟁조정팀, 관련 정책 연구 등을 수행하는 정책기획팀 등을 운영한다.
자문위원회와 사무국을 두고 총 인력은 사무국장 1명, 모니터링팀 5명, 분쟁조정팀 2명, 정책기획팀 2명 등으로 구성됐다. 현재 인력은 8명이다. 센터는 8월 중 게임 관련 이용자 민원 접수 시스템을 구축하고 하반기에 고포류 게임 이용자 중심의 정책을 추진한다.
이 센터장은 “게임의 자극은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좋은 방법 중 하나다. 다만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너무 많으면 해롭다”며 “센터를 통해 게임 이용자들을 보호하는데 각별한 노력을 해 여가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