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대선] 트럼프 '아메리카니즘' VS 클린턴 '경제공약강조'

  • 트럼프는 미국우선주의로 "무역·안보 협정 재협상" 의지 확고

  • 클린턴 안보·외교 오바마 계승…새 경제정책 통해 이미지 쇄신

연설하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 [사진=AP=연합 ]

 

자신의 러닝메이트인 마이크 펜스 (왼쪽)을 가리키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사진=AP=연합 ]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의 전당대회가 마무리되면서 양당 후보의 정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계 1위의 경제대국이자 군사대국인 미국이 어떤 정책을 취하느냐에 따라 전세계의 경제와 안보환경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트럼프의 공약은 '아메리카니즘'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간) 대선후보 지명 수락연설에서 트럼프는 "글로벌리즘이 아닌 아메리카니즘이 우리의 신조"라고 밝혔다. 이 말은 도널드 트럼프의 경제·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을 함축하는 말이다. 

트럼프는 27일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집권 뒤에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재협상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부분의 것들을 재협상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는 집권 뒤 미국의 경제 및 안보 정책이 상당부분 수정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이어 "우리가 손해를 보는 무역협정을 재협상할 것이고, 우리가 방어해 주는 나라들과의 군사협정을 재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 및 경제부문에 있어서 트럼프의 공약은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다. 대표적인 예가 '중국 때리기'다  트럼프는 가장 큰 무역 파트너인 중국에 4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선포하고, 지적재산권 침해 인정 요구 등을 할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렇게 되면 미국과 중국은 남중국해 갈등을 넘어서 경제적 대립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공약에 따를 경우 외국과의 무역교류가 줄면서 미국 경제도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게다가 수입품의 가격상승해 미국의 가계 부담이 늘고, 대외수출도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 6월초 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 겸 하버드대 교수는 파이내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그의 공약 가운데 절반이라도 실행에 옮긴다면 그는 대공황 이후 최악의 무역 전쟁을 촉발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는 안보 부문에 있어서도 고립주의를 분명히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등의 동맹국에 스스로를 방어하라고 요구하고 나토(Nato)의 규모도 축소시켜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같은 요구는 지역 안보지형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 클린턴, '오바마+샌더스' 조합 

민주당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은 오바마의 계승자로 꼽힌다. "오바마 대통령이 전당대회에서 찬조 연설에 나선 것은 자신이 추진해온 진보적인 정책들을 지속시키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CNN은 27일 보도했다. 임기 말에도 여전히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오바마의 바통을 이어받는다는 것은 여러모로 유리하다. 때문에 클린턴은 민주당 경선 토론회에서도 끊임없이 자신이 오바마 유산을 물려받는 인물이라는 것을 강조해왔다. 

실제로 외교·안보 정책에 있어 클린턴은 오바마와 큰 차이가 없다. 트럼프와는 달리 여러 국가들과 공고한 동맹관계를 유지하며,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같은 맥락에서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도 반대한다. 

그러나 경제분야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경선기간 내내 클린턴을 바짝 따라잡았던 '민주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의 입김이 강하게 들어갔다. 

미국 현지 언론들은 버니 샌더스의 돌풍이 클린턴을 많이 '왼쪽'으로 옮겨놨다고 평가했다. 클린턴은 자신이 국무 장관 시절 추진 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 (TPP)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 대표적이다. 

클리턴은 지난 25일에 채택된 대선의 실질적인 공약의 당 정책 강령에서 기업 부유층에 대한 과세강화, 최저임금의 대폭인상 등을 내세웠다. 외교와 안보보다 경제 분야의 정책을 상세하게 기술한 것은 경제분야를 더욱 쟁점화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힐러리 클린턴은 원래 중도로 분류된다. 정치적으로는 온건파가 많은 중간층을 포함한 폭넓은 지지층을 얻으려면 본선에서는 전략을 재검토해야 하는 것이 아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당의 지명을 얻기위해 적극적으로 도입한 진보적 정책들이 과연 본선에서도 호소력을 얻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클린턴의 가장 큰 과제는 기성 정치인이라는 낙인을 떼는 것이다. 영부인과 주지사, 국무위원 등을 거친 클린턴은 새로운 인물을 원하는 유권자들에게 '과거의 인물'로 비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측도 클린턴을 '기성정치의 상징'이라고 공격하고 있다.

때문에 클린턴 캠프는 이번 선거를 기성 대 신인 정치인의 대립이 아닌 새로운 틀에 넣고 진행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