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날 참석자들은 인천항 및 해양수산발전을 위한 현안에 대해 논의하면서 사안에 따라 상호협력과 공동대처를 통해 해결하기로 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고위정책협의회 협약서 수정 ▲제17회 동북아 항만국장회의 및 심포지엄 개최 지원 ▲국립 해양박물관 인천건립 현안보고 ▲신국제여객터미널 내 인천도시철도 1호선 연장 등 총 10건의 안건에 대해 토론과 논의가 이루어졌다
우선, 인천항은 물론 해양수산업무 전반에 대하여 폭넓게 협의할 수 있도록 협약서를 수정했다. 연안여객선 안전항해 저해요소 제거, 섬 접근성 향상 인프라 구축, 백령-인천항로 여객선 운항재개 등 현안에 대해 인천시와 인천해수청이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이다.
인천항 홍보, 견학 지원 등을 통해 인천항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인천시, 인천해수청, 인천항만공사가 상호협력 및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해양 역사·문화에 대한 재조명과 확산을 위해 수도권 2500백만명 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국립 해양박물관 인천건립 추진에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인천항만공사는 新국제여객터미널이 2019년 개장 후 연간 730만명의 이용객 방문이 예상되어 주변 교통체증 완화와 접근성 확보를 위해 인천도시철도 1호선 연장이 조속히 건설될 수 있도록 인천시에 협조 요청했다.
인천시는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지침」에 규정된 반영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지난 7월 21일 국토교통부에 후보노선으로 승인 신청한 상태라고 밝히고 추후 여건변화 등이 생겨 반영기준을 충족할 경우 법정계획(대상노선)에 포함해 추진토록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인천 해양수산발전 고위정책협의회”는 인천시 행정부시장,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인천항만공사 사장을 위원으로 참여기관 순번제로 2015년 1월 14일 제1차 회의(인천시)를 시작으로 2015년 4월8일 제2차 회의(인천항만공사)가 개최됐었다.
앞으로도 반기별로 1회 실시될 계획이며, 필요시에는 상호협의해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