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노후에 적자가 예상되는 가구의 비중은 주택·농지연금 활용 여부에 따라 19~34%로 나타났다. 신노년 4가구 중 1가구는 현재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으로 절대적 빈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경제적 노후준비의 장애 요인은 ‘자녀의 양육·교육비’과 ‘낮은 소득수준’을 꼽았다. 자녀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057만원, 부모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88만원으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노년층은 노인을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보호대상으로 간주한 과거와 달리, 여가·취미생활에 관심을 가지며 구매력을 갖춘 신세대이다. 자녀 세대로부터의 독립된 생활을 원하고 사회참여와 여가·취미에 관한 욕구가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퇴직 후 일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8%가 65세 이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했으며, 원하는 근무형태로 정규직 풀타임(21.8%)을 선호했다.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는 △소득(65.1%) △건강(16.2%) △자기발전(11%) △여가활용(7.7%)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방안으로 △기초연금강화 등 소득보장제도 강화 △주택·농지연금 활용인식 전환을 포함한 노후재무교육 강화 △여가·취미활동이 사회공헌 및 일자리로 이어지는 순환체계 마련 △자립적 인생 제3기 준비를 위한 인큐베이팅 공간 마련을 들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지사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경기도노후준비지원협의회(가칭)’을 통한 다층적인 노후준비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김도균 연구위원은 “신노년층이 노년기 삶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노인지원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경제적 노후준비와 함께 여가 취미활동 등 다방면의 지원 체제를 마련해야한다”며 “신노년층이 생산적이고 활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기존의 복지지원사업과는 차별화된 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