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방경제 피폐화 가속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08 08: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구 유출로 인해 기업들 수도권 회귀 이어져

  • 노동력감소에서 경제피폐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일본의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일본 지역의 지방에서 수도권 기업의 전입이 가속화되고있다. 지난해 도쿄도 등 수도권 지역으로 본사를 옮긴 기업수는 역대 최대이며 올해도 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8일 보도했다. 

이같은 추세가 지속되는 이유는 지방의 인구 감소로 기업들의 노동력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지속적으로 본사의 지방 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인구감소가 수도권의 유출울 촉진하고 지방경제를 더욱 피폐화시키고 있다. 지방 경제가 피폐화되면 인구도 더욱 줄어들기 때문에 악순환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 

도쿄 지역으로 집중이 되는 것에 별다른 제동이 걸려있지 않다. 데이터뱅크가 데이터를 가진 146만개를 조사한 결과 등기상의 본사뿐만 아니라, 재무관리 부문 등 본사 기능 부분의 이전도 건수가 추가됐다. 

지방인 43도부현에서 도쿄, 카나가와, 사이타마, 치바의 1도 3현으로 옮겨온 기업은 지난 2014년 대비 13% 늘어난 335건에 달했다. 이는 집계 가능한 1981년이후 최다 기록이다. 반면 1도 3현에서 43도부현으로 옮겨간 것은 14% 감소한 231 건으로 전입을 100 건 이상 밑돌았다.

올해도 이 경향은 이어지고 있다. 2016년 전반기에 1도 3현, 즉 수도권으로 전입된 것은 153건으로 전출 113건을 크게 웃돌았다. 

이같은 결과가 나타는 것은 지방에서의 인구감소가 현저하고, 인력과 사업기회 등을 따라 도쿄로 본사를 옮기는 경향이 크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분석했다.

총무성의 노동력 조사 모델 추계에서 2015년의 도도부 현별의 노동력 인구는 1997년에 비해 아키타 현이 19%, 시마네 현은 17 % 나 줄어들었다,. 증가는 1도 3 현을 포함한 8 도현 뿐이다. 지방의 인구 감소가 기업의 수도권 이전을 촉진하고, 또한 인구 유출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아베 신조 정권은 지난 2015년을 '지방 창출 원년'으로 삼으면서 기업본사의 지방 이전을 촉구한 바 있다. 이같은 정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이 지방으로 옮기기는 했지만, 여전히 수는 적은 편이다. 

일본 정부는 1983년 테크노폴리스 법, 1992년에 지방거점 도시법 등을 제정해 버블 경제 붕괴 이후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기업들의 지방 전출이 계속됐다. 그러나 이같은 대대적인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빠져나간 지방에서 일본의 기업들이 빠져나가는 걸 막는 것은 역부족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