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으로 제시해 현재 수준을 유지했다.
기획재정부는 S&P가 8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다고 밝혔다.
AA는 S&P의 신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며 우리나라가 AA 등급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P는 한국이 최근 수년간 선진 경제보다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고, 지난해 대외순채권 상태로 전환되는 등 대외부문 지표가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또 통화정책이 견조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지원해왔다는 점도 등급 상향 조정 배경으로 제시했다.
S&P는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배경에 대해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바탕을 뒀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는 등 별다른 변동 요인이 없으면 향후 2년간 신용등급이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신용등급 상향 요인으로는 추가적인 성장을 통한 경제성과와 안정성 강화를 제시했다. 그러나 북한과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점은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들었다.
기재부는 최근 호주, 영국, 일본, 핀란드, 중국 등 선진국,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전세계적인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 추세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상향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실제 국가신용등급을 조정하기 전에 전망을 먼저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전망조정 없이 바로 실제 국가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은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가 차별화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브렉시트 결정, 미국 금리정책 방향, 중국 경제둔화 가능성 등 위험요인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한국경제의 대외 안정성이 부각돼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국내 금융사, 공기업 등의 신용등급 상승으로도 이어져 해외 차입 비용 감소 등 대외안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