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이번 협의에서 양측은 지난해 말 일본군 위안부 합의의 후속 조치를 포함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의에서는 일본이 지난해 위안부 합의에 따라 '화해·치유 재단'에 출연할 예산 10억엔(약 107억원)의 사용처와 거출 시기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일본 측 출연금이 아베 신조 총리의 사죄와 반성, 일본 정부의 책임 통감에 기초한 만큼 사실상 배상의 의미가 있다는 데 무게를 둬 왔다. 이런 점에서 배상 의미가 부각되는 지원금 등 피해자에 대한 직접 수혜사업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배상 성격을 희석하고자 서비스 등 간접적 형태의 지원사업을 선호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지난달 28일 기자들에게 10억 엔 출연 시기에 대해 "양국 정부가 (재단) 사업의 조정을 하고 있다"며 "그 결과에 따라 지출 시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