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경기부양을 위해 여러나라가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가 예상치 못한 역풍을 불러왔다. 마이너스금리는 저축이나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를 막고 소비를 늘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금융정책이다.
낮은 성장률과 경기침체로 고민해온 유럽연합(EU)과 일본 등이 경기 부양을 위해 도입했으나, 이들국가의 저축률이 오히려 높아지는 역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지난해 독일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저축률이 2010년 이후 최고치인 9.7%로 올랐다고 WSJ은 OECD의 자료를 인용해 이날 전했다. OECD는 올해에는 10.4%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로존이 아니면서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덴마크와 스위스, 스웨덴 등에서는 OECD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저축률을 기록하고 있다. 덴마크와 스위스, 스웨덴 가구의 올해 저축률도 각각 8.1%, 20.1%, 16.5%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2월 마이너스금리 도입을 선언한 일본의 저축률도 높아지고 있다. 가구의 현금 및 저축이 1분기에 이미 작년 동기보다 1.3% 늘었다.
그러나 최근에 힘을 얻고 있는 분석은 마이너스금리가 경기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키웠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모건스탠리의 수석전략가인 앤드루 쉬츠는 "사람들은 미래를 확신할 때 더 많은 돈을 쓴다"면서 "하지만 "마이너스금리 정책은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마이너스금리가 도입된 경제권에서는 가구뿐 아니라 기업도 투자 대신 현금 보유를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비금융계 일본 기업들의 현금 및 저축은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8.4% 늘었다. 이는 1990년대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의 비금융계 기업들도 지난해 말 기준 현금 보유량이 전년 말보다 5% 증가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아직 마이너스 금리의 효과에 대해서 논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도 있다. 일본은행의 구로다 총재는 "효과가 한번에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라면서 "서서히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라고 6월 기자회견에서 말한 적이다.
한편 마이너스금리가 도입되지 않은 미국과 영국에서는 저축률이 안정된 수준이거나 약간 낮아지는 추세다.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마이너스 금리를 더욱 낮춰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 미시간 대학의 경제학자인 마일스 캠볼은 사람들이 마이너스 금리에 대해 두려워하는 것은 중앙은행이 제대로 대중들에게 설명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캠볼은 "중앙은행은 이것은 그저 평범한 정책수단 중 하나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면서 "그렇게 하면 사람들이 무서워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