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 준공식.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11일 오전 11시 수산자원연구소에서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 준공식’을 열었다.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어패류의 시험연구 및 대량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총 7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16개월간의 공정을 거쳐 건립됐다.
수산자원의 미래 산업화 연구기반으로 확충된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는 수산자원연구소에서 1.7km 바다 밖, 수심 37m에서 연중 15℃ 이하의 청정 해수를 취수할 수 있으며 고수온기에 사육수온을 제어하고, 질병예방을 위한 방역 및 수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도 구축 되어있다.
한해성 수산생물이란 연평균 15∼16℃ 이하 수역인 한대·아한대권의 해수역에 분포하고 대부분이 바다 깊은 곳에 서식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에 주로 서식하는 수산 특화품종이다.
동해안의 해양환경은 이상기온으로 인해 해수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남획으로 인해 어자원이 고갈 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하는 등 어업인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는 이러한 어업 환경변화에 대응해 동해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고급 수산물의 연구 및 자원회복을 위해 건립하게 됐다.
센터 내에는 종 보존실, 저서어류 연구실, 무척추동물 연구실, 특화품종 연구실, 먹이생물 배양실 등 5개의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줄가자미(일명이시가리), 찰가자미 등 가자미류와 대게, 새우류, 가리비 등 자원이 급감한 동해안 고부가 특화품종의 인공 종묘생산을 위한 시험․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김두한 도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우리 도 수산업의 미래는 청정 동해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고유의 수산자원을 어떻게 보존하고 이용하는가에 달려 있다”며, “연구소에서는 지역특화품종의 시험․연구를 통한 기술개발과 대량 방류로 동해안을 황금어장으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