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탄압 위해 무단통치·헌병경찰제 시행해야"…日 아카시 헌병사령관 친필 공개

  • 독립기념관, 12일 아카시 친필서한 최초공개

1909년 8월 3일 당시 한국주차헌병대사령관이었던 아카시 모토지로가 무단통치 정책의 핵심 주장을 담아 자신의 후임자에게 보낸 친필 서한 [사진=독립기념관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불측한 백성을 제어하고 분쟁과 소요의 화근이라 할 수 있는 (중략) 이 새로운 보호국에서 군도의 광채와 다갈색을 싫어하여 보통의 경찰에게 의지하려고 하는 문관 기질은 배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909년 당시 한국주차헌병대사령관이었던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郞)는 자신의 후임자로 임명된 사가키하라 쇼조(榊原昇造) 헌병대장에게 한민족 탄압의 새로운 모델로 무단통치-헌병경찰제 시행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기하며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이 자료는 1910년 경술국치 전후 한국민 강권탄압을 주도한 아카시의 무단통치 정책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 군국주의의 침략본질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독립기념관(관장 윤주경)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광복71주년을 맞아 의병탄압과 무단통치의 주범인 아카시의 친필서한을 12일 오전 독립기념관 자료실에서 최초로 공개했다. 이 서한은 독립기념관이 최근 일본 교토의 개인 연구자로부터 인수한 것으로, 일본 두루마리 형태로 배접돼 있다. 자료 규격은 가로 11미터, 세로 18㎝ 정도이며, 일본 고어로 작성된 아카시의 초서체 친필이다. 
 

한국주차헌병대 건물[사진=독립기념관 제공]


아카시는 서한을 통해 자신이 2년간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병 탄압을 완료하고 식민통치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한국주차헌병이 한국의 치안유지 경찰권까지 장악해야 한다는 '헌병경찰제' 시행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또한 그는 헌병의 권한 확대를 위해 '헌병대장' 직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헌병대사령관'으로 직함을 승격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관계자는 "(이 자료는)1907년부터 1914년에 이르기까지 8년간 한국민을 철저하게 탄압한 아카시의 무단통치, 헌병경찰제 주장 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그가 주장한 헌병의 한국 경찰권 장악(헌병경찰제), 헌병대사령관 직위 확보 등은 1910년 6월 데라우치 통감(국치 후 총독) 부임 이후 그대로 실현돼 경술국치 이후 일제 무단통치의 근간이 됐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