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이번 개각에는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한 번도 교체되지 않았던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등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됐지만 결국 제외됐다.
이들 장관의 공통점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며 정권의 핵심 과제를 담당하는 부처의 장관이라는 점이 공통점으로 거론된다.
박 대통령은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창조경제·문화융성·노동개혁 등 이번 정권의 핵심 과제를 임기 내에 완수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결국 창조경제·문화융성·노동개혁의 주무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의 장관직이 성적표에 따라 교체되거나 재신임을 받았다.
새 문체부 장관으로 내정된 조윤선 전 장관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박 대통령을 '그림자 수행'하고 인수위 시절엔 대통령의 '복심'으로 거론됐던 인물이다.
집권 후에는 여성가족부 장관과 청와대 정무수석을 차례로 지낸 최측근 중 한 명이다. 조 내정자의 입각은 여당에 이어 내각에도 친박의 세를 더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화융성과 더불어 현 정권의 양대 기조인 창조경제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창조과학부도 당초 유력한 개각 대상으로 거론됐지만 현 최양희 장관의 유임으로 결론이 났다.
최양희 장관이 박근혜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수행한다는 평가에다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의 성과를 확실히 내려면 최 장관만큼 적임자는 없다고 판단이 나오면서 유임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도 개각 대상으로 지목됐지만 조선업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문제가 긴급한 정부 현안으로 떠으로면서 유임시킨 뒤 책임지고 수습하라는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기권 장관의 고향(전남 함평)도 탕평인사를 건의한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건의를 수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일한 현 정부 '원년 멤버'가 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박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최장수 장관 반열에 올랐다. 인수위시절 박근혜정부 외교정책의 큰 그림을 그린 윤 장관에 대한 대통령의 높은 신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핵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와 맞물려 주변국 정세가 복잡하게 돌아가는 상황과 동맹국과의 외교공조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외교수장 교체를 부정적으로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 장관의 공통점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며 정권의 핵심 과제를 담당하는 부처의 장관이라는 점이 공통점으로 거론된다.
박 대통령은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창조경제·문화융성·노동개혁 등 이번 정권의 핵심 과제를 임기 내에 완수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결국 창조경제·문화융성·노동개혁의 주무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의 장관직이 성적표에 따라 교체되거나 재신임을 받았다.
집권 후에는 여성가족부 장관과 청와대 정무수석을 차례로 지낸 최측근 중 한 명이다. 조 내정자의 입각은 여당에 이어 내각에도 친박의 세를 더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화융성과 더불어 현 정권의 양대 기조인 창조경제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창조과학부도 당초 유력한 개각 대상으로 거론됐지만 현 최양희 장관의 유임으로 결론이 났다.
최양희 장관이 박근혜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수행한다는 평가에다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의 성과를 확실히 내려면 최 장관만큼 적임자는 없다고 판단이 나오면서 유임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도 개각 대상으로 지목됐지만 조선업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문제가 긴급한 정부 현안으로 떠으로면서 유임시킨 뒤 책임지고 수습하라는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기권 장관의 고향(전남 함평)도 탕평인사를 건의한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건의를 수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일한 현 정부 '원년 멤버'가 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박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최장수 장관 반열에 올랐다. 인수위시절 박근혜정부 외교정책의 큰 그림을 그린 윤 장관에 대한 대통령의 높은 신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핵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와 맞물려 주변국 정세가 복잡하게 돌아가는 상황과 동맹국과의 외교공조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외교수장 교체를 부정적으로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