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 '제2차 국가연구개발정보관리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골자의 'NTIS 국가연구개발정보 개방 확대 방안'을 심의·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NTIS란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이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 △정보공개에 있어서 네거티브방식을 적용하여 개인정보, 보안과제 등 비공개 항목이외에는 공개 확대 △이용자 서비스 편의성 제고 △공개정보의 품질 제고와 환류체계 구축 내용을 반영키로 했다.
자료 다운로드에 대한 이용절차와 편의성도 개선된다. 원하는 정보를 검색 후 결과를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고, 신청부터 자료를 받을 때까지 수동 승인 처리하던 것을 자동 처리된다.
연구개발정보의 전문분석 지원을 위한 NTIS 서비스도 개선한다. 서비스 이용 신청 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바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며, 논문과 특허 등 연구개발성과의 직접적인 계량분석 지원을 위해 한국형 정보분석도구(KnowledgeMatrix)를 탑재할 방침이다.
아울러 주요 서비스의 활용결과를 분석해 서비스 개선에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기술거래 및 사업화 정보에 대한 검증을 확대하는 등 정보품질 개선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홍남기 제1차관은 "국가연구개발정보 공개 확대를 통한 과학기술분야 정부 3.0을 구현하고, 연구자에게는 융합 및 협업 연구를 촉진하게 하겠다"며 "기업에게는 필요한 연구자 및 기술 정보 등을 제공해 제품․서비스 혁신 및 기술사업화로 연결시키는 등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