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윤세미 기자= 16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의 주요 지수는 연준 위원들의 기준금리 인상 시사 발언 영향에 전날 기록한 역대 최고점에서 후퇴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03포인트(0.45%) 하락한 1만8552.0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12.00포인트(0.55%) 내린 2178.1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4.91포인트(0.66%) 내린 5227.11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연준 위원들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은 것이 시장에는 악재였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에 적절한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며 9월 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어 그는 "경제는 양호하다. 고용시장은 목표치에 근접하고 있고 임금 상승세가 가속될 신호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역시 연내 한 번 이상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테네시주 녹스빌의 로터리클럽 연설에서 미국 경제 전망에 자신감을 느끼고 있으며 올해 "최소한 한 번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통신과 유틸리티, 산업, 소재, 금융 등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다만 에너지 업종은 나흘째 이어진 유가상승에 힘입어 오름세를 보였다.
개별주로는 건축자재 판매 체인업체인 홈디포 실적이 전망치를 하회함에 따라 주가가 0.6% 내렸다.
경제 지표는 대체로 호조였다. 7월 주택 착공건수는 2.1% 증가한 120만건으로 전문가 전망치인 118만건을 웃돌며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7월 미국의 산업생산은 0.7% 증가하면서 전망치인 0.3%를 웃돌았다. 2014년 11월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반면 노동부가 발표한 7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제자리걸음했다. 전년 대비로는 0.8% 올랐다. 여타 물가는 상승했으나 휘발유 가격이 하락하면서 그 영향을 상쇄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7월 근원 소비자물가는 0.1% 오르며 전망치인 0.2% 상승에 못 미쳤다. 전년 대비로는 2.2%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