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금리인상, 미국 연준 9월에는 움직일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17 16: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한창 달궈졌던 미국 증시가 한풀 꺾였다. 16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지수는 전날보다 다우존스는0.45%, S&P 500은 0.5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0.66% 하락하면서 마감했다. 이날 하락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 것은 미국의 9월 금리인상설이었다.

연방준비위원회의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6일 폭스뉴스에 출연해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면서 “9월 금리 인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의 총제인 데니스 록하트 역시 이날 오후 “미국 경제는 올해 말까지 최소 한 차례 금리 인상을 견딜 정도로 강력하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9월 금리인상 여부에 대해 아직 확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시장은 연준이 금리인상에 대해서 언급은 많이하지만, 실제로 과감하게 금리는 올리지 못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8년 넘게 이어진 저금리 시대의 막을 내릴 준비가 아직 안됐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미국 금융가에서는 이같은 '저금리 정권'이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쟁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한편 최근 주식시장이 달아오른 것 역시 저금리 시대가 계속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데일리 메일은 16일 분석했다.

미국 외에서도 금리인상을 기다리는 이들도 있다. 글렌 스티븐스 호주 중앙은행(RBA) 총재는 17일 미국의 금리 인상을 촉구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고 월스트리스저널(WSJ)은 전했다. 스티븐스 총재는 이날 WSJ와의 인터뷰에서 "세계 경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을 '흡수'할 준비가 돼있다"며 "이보다 더 준비가 돼있을 순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계속되는 저금리로 호주의 통화상승이 지속되면서 경제에 압박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17일로 예정된 7월 FOMC 의사록과 이번주 후반 발표가 예정돼 있는 미국의 7월 산업생산과 소비자물가지수, 설비가동률, 주택착공건수,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등이 금리인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FOMC는 9월 외에 11월과 12월 세 차례 남아있다. 연준에서는 연내 적어도 1회 이상의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가운데, 그 시기가 언제가 될 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