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의회 조규영 부의장이 17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밝게 웃고 있다.]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정치에서 갈등 조정 및 통합은 언제나 중요한 이슈로 정당간, 의회와 서울시간 이해관계에 따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차별화된 시각으로 비효율, 비생산 등 각종 부작용이 도출되지 않도록 소통과 이해를 돕는 중재자 역할을 하겠습니다."
서울시의회 제9대 후반기 조규영 부의장(더불어민주당, 구로2)은 17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의사결정 중 여러 이견으로 본래 목표가 사라지지 않도록 통합과 조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립대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문가로 여성 및 복지 문제의 현실적인 보완을 힘쓴다.
예컨대 보육·탁아 관련 현안은 1992년 '영유아 보육법'이 제정되고 수 차례 논의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정책이 만들어졌다. 그렇지만 여전히 근무여건이나 처우 개선 등 일선에서 근로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커다란 것이 현실이다. 당면한 여성뿐만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남녀노소 모두의 고민이다.
가장 소외되고 힘든 이들을 낮은 자세로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와 정치인의 공통점을 찾은 조 부의장은 "복지는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이라면 지역과 사람 등 어떤 조건에 관계 없이 누구나 동등하게 누리는 것이어야 한다. 보편적 복지 실현이 더 넓고 다채로운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반기 의회의 최대 쟁점으로는 정책보좌관제 도입과 사무처 인사권 독립을 꼽았다. 한해 38조원에 이르는 예산 심의와 의결, 서울시 행정에 대한 감사 등 시민들이 맡겨준 임무를 잘 처리하기 위해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보좌할 전문인력은 반드시 요구된다고 했다.
아울러 의회 사무처 직원들의 인사권이 행정부인 서울시에 주어져 의정 활동에 한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집행부를 견제해야 할 의회의 고유 기능 수행이 어렵다는 것이다. 행정사무감사나 예산심의 때 의회 사무처 직원이 중요 정보를 집행부에 속속들이 전달, 의정활동에 심각한 침해를 받은 사례가 있다고 알렸다.
또 이달 9일 소속 정당의 수도권 여성 광역의원 간담회 개최를 계기로 광역의회간 교류 활성화 및 여성의 정치 참여도 향상시킨다는 구상이다. 여성 정치인·기업인·단체 등 유관기관의 네트워크 강화에 나선다. 이를 창구로 일명 '경단녀'를 비롯해 출산율 저하 등에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코자 한다.
'25년만의 여성 의장단'이란 타이틀을 갖게 된 조규영 부의장은 "많은 사람들이 집중하는 큰 무대에 선 것과 같다고 느껴진다. 내가 잘 해야 여성에 대한 편견이 깨지고, 차후 여성 의장도 나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책임감을 전했다.

[서울시의회 조규영 부의장이 17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후반기 의회 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