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7월 현재 전국의 전세가율은 75.4%로 2013년 4월 이후 63개월간 한번의 하락 없이 상승 또는 보합세를 유지 하고 있다.
전세가율 상승세도 가파르다. 2011년 10월 60%를 돌파한 전국 평균 전세가율은 65%를 넘기까지 23개월이 걸렸다. 반면 2014년 12월 사상 처음으로 70%를 넘어선 전세가율은 17개월 만인 2016년 5월 75.2%를 기록하며 75%를 돌파했다.
이에 따라 80% 이상의 고전세가율을 보이는 일부 지역에서는 매매가를 넘은 전세가는 물론 신규분양 아파트의 분양가보다 비싼 전세매물도 나타나고 있다. 7월 현재 84.3%의 전세가율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는 성북구가 대표적이다.
동일 단지에서도 전세가가 매매가를 넘는 거래가 발생하기도 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신고내역을 조사한 결과, 성북구 하월곡동에 위치한 월곡두산위브 아파트 전용 59㎡는 지난 1월 3억5500만원에 매매거래가 신고되었는데, 같은 달 전세거래 신고내역 중에서는 동일 면적형이 3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오히려 500만원이 높았던 것이다.
경기지역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83%의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는 고양시 덕양구에서 지난해 6월 분양한 ‘고양 삼송 화성파크드림’ 전용 59㎡의 분양가는 2억9800만원이다. 반면 인근의 행신동에 위치한 ‘행신3차 SKView’ 전용 59㎡의 전세가는 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지역 내 신규분양단지의 분양가보다 기존 아파트의 전세가가 더 높은 것이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매매가의 오름폭보다 전세가의 오름폭이 더 높아 매매가와 전세가의 격차는 점점 더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이에 기존 아파트의 매매가보다는 저렴한 신규분양으로 전세난민들의 이동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