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북한자유이주민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IPCNKR) 제13차 총회 서울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25 08: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10개국 40여명의 의원들 참석, 탈북자 인권향상을 위한 국제협력 모색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북한자유이주민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IPCNKR, 상임공동의장 홍일표 의원) 제13차 총회가 오는  29일부터 2박 3일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다.

국제의원연맹은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보호, 국제적 여론 환기와 국제공조를 통한 북한인권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2003년 창립된 전 세계 국회의원들의 연맹체이다.

이번 총회는 10개국 40여명의 국회의원과 각 국 대사, 교수, NGO대표 등 100여명의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상임공동의장인 나카가와(Nakagawa) 일본 중의원과 카메룬의 지펜지(Njifenji) 상원의장, 시나 폴슨(Signe Poulsen) 유엔서울인권사무소장, 베세리아(Beselia) 조지아 의회 인권위원장 등 각국 의회에서 영향력이 있는 의원들이 대거 참석하여, 탈북난민에 대한 처우개선, 강제북송 금지 촉구 및 북한 출신 해외근로자들의 인권개선 촉구 등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서울에서 IPCNKR 총회를 개최하는 건 2012년 제9차 총회 이후 4년만이다.(10차- 폴란드 바르샤바, 11차-루마니아 부쿠레슈티, 12차- 오스트리아 비엔나)

이번 제13차 서울총회는 유럽에서 대량난민과 테러발생 등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탈북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인권상황에 대해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탈북자들이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순조롭게 정착하여 그 사회에 통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들을 살펴보고, 북한인권법 등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들에 대한 평가와 북한인권 증진을 위해 국제적 공조의 뜻을 모을 계획이다.

IPCNKR의 상임공동의장인 홍일표 의원은 “북한의 비극은 쌀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유가 없어서 벌어지는 것이며, 북한에 필요한 것은 빵 보다도 인권”이라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이번 총회를 통해 인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릴 것”이라 밝히며, “국제적 공조를 통한 압박과 제재뿐만 아니라 IPCNKR 회원국을 중심으로 하는 다자적 또는 양자적 차원의 인권 대화도 논의할 예정”이라 밝혔다.

◆IPCNKR의 회원국과 주요활동
현재 IPCNKR 회원국은 아시아 11개국, 유럽 21개국, 미주 11개국, 대양주 6개국, 중동 2개국, 아프리카 10개국 등 모두 61개국 이며, 유럽연합,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회원국들은 북한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탈북주민들에 대한 난민지위인정에 앞장서왔다.

또 IPCNKR은 2004년 미국, 2006년 일본, 2016년 대한민국의 북한인권법 제정에도 기여해 왔다.

이와 함께 IPCNKR를 포함한 북한인권 관련 단체의 활동을 통해 북한인권의 열악한 현실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통인식이 폭 넓게 형성되면서, UN에서도 2004년에 북한인권특별보고관제를 도입했다.

또한, UN 인권이사회는 2003년부터, UN총회의 경우 2005년부터 매년 북한의 인권상황을 우려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하는데 에도 기여해왔다.

2013년에는 UN 산하에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설치되었고, 2015년에는 유엔서울인권사무소가 설치되었다. IPCNKR은 회원국가 차원의 북한 인권개선 노력과 이탈주민에 대한 보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