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8/25/20160825093248399650.jpg)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철도부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인증을 국내에서 받을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철도안전 분야 국제공인 제품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철도연은 4개 철도부품 분야(IEC 62278·62279·62425·62280)의 안전성에 대한 인증을 시행할 수 있게 됐다.
철도부품 제품인증제도는 국제인증기관이 시험·평가 등을 통해 안전성 인증을 하는 것으로, 국제인증기구협정에 따라 우리나라 등 67개 회원국에서 상호 인정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철도 산업계는 국제인증기관이 없어 철도 안전성 인증을 받는데 시간과 비용 부담이 컸다. 국제인증 과정에서 기술유출 등의 우려 등의 어려움도 있었다.
실제 신분당선, 호남고속철도, 경부선, 김포경전철사업 등의 차량 및 신호시스템 등 안전적합성 인증을 영국과 독일에서 시행한 바 있다.
철도연의 인증 비용은 해외 인증기관의 약 25% 수준으로 예상된다. 또 철도부품의 국제인증시장 규모가 약 3조~5조원(국내 약 100억 원) 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철도연의 국제인증업무 확대로 국익 창출의 부수적 효과도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도연이 철도 분야 국제인증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우리 철도기술의 발전과 안전성 확대, 철도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진출이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며 "철도 차량·부품산업 육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