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권오준 회장 “포스코 구조조정, 임기 내 80%까지 끝낼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31 14: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래 성장 위한 바탕만드는 CEO 역할”…지난 2년 반 활동 자평

[사진=포스코 제공]

(아주경제=태국 방콕) 김봉철 기자 =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2014년 3월 취임 일성으로 내걸었던 포스코그룹의 구조조정 목표치를 임기 내 80%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권 회장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권 회장은 31일 태국 자동차강판 공장 준공식을 앞두고 방콕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을 열고 “회장 취임 당시 재무건전성 악화로 건전한 방향으로 만들어 달라는 미션을 받았다고 생각했다”면서 “현재까지 2년 반 동안 구조조정 계획을 시행해 60% 이상은 진전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2014년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정리대상 계열사, 매각대상 자산을 149건으로 추려 현재 그 중 64%를 정리했다”면서 “이를 통해 현금 확보 목표치 7조7000억원의 60% 가량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기가 끝날 즈음이면 80% 이상이 끝나고, ‘정리해서 줄이는’ 방향으로 나간 포스코가 ‘앞으로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 회장은 취임 2년 반의 소회를 묻는 질문에 “기업은 항상 움직이고 성장해야하는데, 그런 측면에서는 제가 CEO로서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구조조정을 해서 재무건전성 좋아지고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의 바탕을 만드는 CEO로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하면서 위안 삼는다”고 전했다.

그는 구조조정 결과 개선된 재무 상황에 대해 “포스코 개별 부채비율이 20% 이하로 내려간 건 창사 이래 최초”라며 “그룹 차원(연결 기준)에서도 창사 이래 최초로 부채비율 80% 이하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권 회장은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전세계 어느 철강사보다도 포스코가 앞서나가는 기가스틸(알루미늄보다 강도가 3~5배 높은 초고장력강) 같은 미래 먹거리에 투자해나가고 있다”면서 “비철 쪽에서도 리튬, 니켈에 이어 티타늄 고급제품 생산까지 사업을 확대해나가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향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권 회장은 “한국은 포스코 설립 이후에 하공정부문 압연업체, 전기로업체 등이 있어 나름대로 역할을 하며 자라왔는데 고로업체(현대제철)가 하나 더 생기는 변수로 인해 공급과잉이 심각한 정도가 됐다”면서 “유럽·일본의 구조조정 사례처럼 고로업체들이 개별 압연업체 등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급과잉 극복을 위해 설비 감축 구조조정 못지않게 남들이 못 만드는 제품 싸게 만들어 수출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도 했다.

권 회장은 또한 최근 포스코 열연 제품에 57% 가량의 관세 폭탄을 안긴 미국 정부의 조치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미국에 연 100만t 가량의 열연을 수출하는데 최근 (관세폭탄을) 세게 얻어맞아서 가슴이 상당히 아프다. 포스코 생산량 3600만t 중 100만t은 크게 심각한 수준도 아니고, 매년 국내에 중국산 1400만t 포함, 2300만t씩 들어오는 수입물량을 대체하면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