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8/31/20160831141813561685.jpg)
[사진=포스코 제공]
권 회장은 31일 태국 자동차강판 공장 준공식을 앞두고 방콕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을 열고 “회장 취임 당시 재무건전성 악화로 건전한 방향으로 만들어 달라는 미션을 받았다고 생각했다”면서 “현재까지 2년 반 동안 구조조정 계획을 시행해 60% 이상은 진전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2014년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정리대상 계열사, 매각대상 자산을 149건으로 추려 현재 그 중 64%를 정리했다”면서 “이를 통해 현금 확보 목표치 7조7000억원의 60% 가량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기가 끝날 즈음이면 80% 이상이 끝나고, ‘정리해서 줄이는’ 방향으로 나간 포스코가 ‘앞으로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구조조정 결과 개선된 재무 상황에 대해 “포스코 개별 부채비율이 20% 이하로 내려간 건 창사 이래 최초”라며 “그룹 차원(연결 기준)에서도 창사 이래 최초로 부채비율 80% 이하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권 회장은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전세계 어느 철강사보다도 포스코가 앞서나가는 기가스틸(알루미늄보다 강도가 3~5배 높은 초고장력강) 같은 미래 먹거리에 투자해나가고 있다”면서 “비철 쪽에서도 리튬, 니켈에 이어 티타늄 고급제품 생산까지 사업을 확대해나가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향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권 회장은 “한국은 포스코 설립 이후에 하공정부문 압연업체, 전기로업체 등이 있어 나름대로 역할을 하며 자라왔는데 고로업체(현대제철)가 하나 더 생기는 변수로 인해 공급과잉이 심각한 정도가 됐다”면서 “유럽·일본의 구조조정 사례처럼 고로업체들이 개별 압연업체 등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급과잉 극복을 위해 설비 감축 구조조정 못지않게 남들이 못 만드는 제품 싸게 만들어 수출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도 했다.
권 회장은 또한 최근 포스코 열연 제품에 57% 가량의 관세 폭탄을 안긴 미국 정부의 조치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미국에 연 100만t 가량의 열연을 수출하는데 최근 (관세폭탄을) 세게 얻어맞아서 가슴이 상당히 아프다. 포스코 생산량 3600만t 중 100만t은 크게 심각한 수준도 아니고, 매년 국내에 중국산 1400만t 포함, 2300만t씩 들어오는 수입물량을 대체하면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