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31일 긴급성명을 통해 "국내 1위의 대표적인 국적 선사인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국가적 중요성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한진그룹과 채권단, 그리고 정부는 한진해운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힘을 합쳐, 적극적인 회생 대책을 마련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병수 시장은 "세계 3위의 환적항만이자 세계 5위 컨테이너항인 부산항의 국제 경쟁력이 저해되지 않도록 정부는 실효성 있고, 강력한 항만물류 지원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해 주기를 촉구"하며, "이번 위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해운·항만 관련 산업의 고용 불안정과 영업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중앙정부 차원의 특별 대책과 금융 지원, 실업대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시는 한진해운 사태가 부산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 기관·전문가들과 함께 '부산항 해운‧항만‧물류 비상대응반'을 구성·운영하고, 향후 한진해운 사태로 인한 협력업체의 자금 유동성 지원, 고용안정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한진해운이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넘을 수 있도록 지원하지 못한 채 국가기간 산업의 한 축으로써 대체 불가능한 해운기업을 청산하려 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부산상의는 현재 부산경제는 주력산업인 조선 및 기자재산업이 수주절벽의 위기에 직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진해운 사태를 해결하고 해운 및 항만, 물류산업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함을 강조했다.
성명서를 통해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 채권단의 보다 탄력적인 유동성 지원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한진해운도 국내 해운산업 대표기업으로서 보다 강도 높은 자구방안 수립을 당부"했다.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정부도 채권단 결정에만 맡겨두지 말고 국익 우선이라는 대승적인 차원 및 부산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진해운을 포함한 해운업계가 조속히 정상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요구했다.
반면, 부산항발전협의회는 이번 한진해운의 유동성의 위기를 타개하고, 경영정상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부산발전협의회 이승규 공동대표는 "한진해운의 유동성 위기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도 있지만 이와 함께 해운시황 호황기에 무리하게 신조 선박을 발주하고 장기 용선에 나선 것이 큰 요인"이라고 말하며, "한진그룹은 지금까지 1조원 이상을 지원했다고 하나, 채권단의 요구액 보다는 개략 2,000억 원에서 많게는 5,000억원까지 부족한 자구안을 제출했다.이는 한진해운에 대한 국민정서와 현격한 차이가 있으며,또한 한진해운측의 회생 의지를 의심케 한 금액이라 아니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대표는 "한진그룹과 조양호 회장은 국민이 납득할 만한 추가 자구방안을 조속히 마련, 과감히 출연해야 하며, 부산시, 부산항만공사, 부산권 금융, 상공업계 등에서 공동 지원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부산항발전협의회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는 정기선 특성상 회생불능을 의미하며 부산항의 물동량 감소는 물론, 부산지역의 직접 매출액 추산으로 4400억원이 감소하고, 1만1000여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승규 공동대표는 "부산항 전체의 부가가치와 고용 안정 등 해운항만 산업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해, 부산에서 부산권이 먼저 지원방안을 마련해 한진해운 살리기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진해운이 산업은행 자회사로 편입되어 경영이 안정되고 스스로 자생해 글로벌 선사로 재탄생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항발전협의회는 "덴마크(Maersk), 프랑스(CMA-CGM), 독일(Hapag-Lloyd), 중국(COSCO) 등은 자국 선사가 유동성 위기에 처했을 때, 대규모 지원을 하여 더욱더 강한 선사로 만들었다. 해운시황은 바닥세로 영업환경은 점차적으로 좋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산업은행의 대담한 결단으로 한진해운 자생 프로그램을 추진해 더욱 견고한 선사로 부산지역, 우리나라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승규 공동대표는 "한진해운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해 부산 품에서 직접 육성 발전시켜, 해양수도로서의 부산의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 부산은 해양금융, 연구기관, 해양관련대학 등이 집약되어 있는 국내 유일한 해양 도시이다.이번 기회에 글로벌 선사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함으로써 지역 인재 양성 및 고용확대, 항만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져야 하며, 한진해운이 법정관리가 아니라 회생을 통해 글로벌 선사로 재도약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