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경협증진자금은 수출입은행이 신흥국에 중장기·저리로 금융을 지원해주고 정부가 수은에 손실을 보전해주는 제도로, 신흥국과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자 올해 도입됐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31일 기재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 코트라 등 업계협회가 참여한 가운데 제2차 해외인프라 수주 및 투자지원 협의회를 주재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인도, 베트남 등 7개 인프라 사업을 신흥국 경협증진자금 대상 우선 검토사업으로 선정해 타당성 검토에 착수했다.
정부가 운영하는 대외협력기금(EDCF) 재원이 부족해지자 민간 재원을 끌어들이고자 도입됐다.
신흥국 경협증진자금을 통해 신흥국이 인프라 사업을 추진하면 국내 기업이 해당 사업과 관련한 수주를 할 기회가 늘어난다는 차원에서 정부가 국내 기업의 해외 수주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셈이 된다.
정부는 후보 사업에 대한 검토 작업을 11월께까지 마치고 연내 사업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해외건설 수주동향에 대해 협의회는 녹록지 못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저유가에 중동지역 플랜트 사업 위주로 추진된 해외건설 취약성이 부각되며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4년 660억 달러 이후 2015년 461억 달러, 올해 상반기엔 152억 달러로 줄었다.
이에 협의회는 위기를 계기로 삼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신시장 개척과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자고 논의했다.
특히 올 초 이란 제재가 해제되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출범함에 따라 이란·아시아 시장에 국내 기업이 선제 진입할 수 있도록 민관이 긴밀히 공조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협의회는 또 다음 회의를 12월에 잡고 앞으로 반기별로 회의를 열기로 했다.
기재부 국제차관보 주재로 열리는 협의회 산하 수주지원반회의도 분기별로 개최해 협의회를 활성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최 차관은 "해외사업 여건이 매우 어렵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민관이 지혜를 모으고 힘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