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미래창조과학부는 중소기업들이 빅데이터를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빅데이터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기업의 데이터처리 능력이 경쟁의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빅데이터를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이 추진됐다.
특히 대기업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제조, 관리, 마케팅 부문 등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자금과 인력부족을 이유로 빅데이터 활용을 거의 하지 못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소 빅데이터 전문기업들도 외형상으로는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이나 역량은 여전히 취약한 상황이다. 전체 데이터전문기업 중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이 전체의 70%에 육박하다는 조사도 나왔다.
NIA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빅데이터 전문기업 육성과 수요기업 지원 간 연계를 통해 빅데이터 솔루션 기업은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고, 수요기업은 빅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창출이 가능한 성공모델을 발굴코자 한다.
이러한 솔루션매칭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요기업을 중심으로 현재 시중에 출시된 빅데이터 상용솔루션을 매칭하고 컨설팅을 지원한다.
중소기업들은 이번 사업을 통해 현재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빅데이터 상용 솔루션을 실제 업무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올해는 수요기업 수를 지난해 30개 기업에서 50개 기업으로 확대했으며 SNS 데이터 중심의 데이터 분석에서 공공데이터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결합해 분석하는 등 데이터 분석 모델을 다양화했다.
아울러 기술자문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등의 데이터 기반 창의적 아이디어를 비즈니스화 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전문가 풀을 활용한 기술 멘토링을 제공한다.
올해에는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비롯해 서비스 기획, 인프라 구축, 분석 기술 등 분야별로 사업화 가능성 및 시장성이 높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등을 선정하여 멘토링을 제공한다.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비롯해 서비스 기획, 인프라 구축, 분석 기술 등 분야별로 사업화 가능성 및 시장성이 높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등을 선정해 멘토링을 제공한다.
NIA 측은 이번 사업을 통해 전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이 촉진되고, 이를 통해 자생적 민간시장이 확대돼 중소 빅데이터 솔루션 기업들이 커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중소기업 지원 사업 중 솔루션 매칭 지원 사업의 수요기업 공모는 9월 8일부터 21일까지며, 최종 선정결과는 오는 23일 발표될 예정이다. 기술자문 지원 사업은 2016년 9월 8일부터 10월 7일까지 한 달간 신청을 받아 연말까지 기술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