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능이 있는 금융기관과 연계된 전자카드를 건설근로자가 사업장에 설치된 단말기에 태그하면 출퇴근은 물론 퇴직공제 내역까지 관리하는 제도이다.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서울시가 발주한 △서남물재생센터 고도처리 및 시설현대화사업 △어린이병원 삼성발달센터 증축공사 △문정법무시설 신축공사현장 3개 현장을 '전자인력관리제' 시범사업장으로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서남물재생센터 현장의 태그율이 98% 이상으로 나와 전자인력관리제가 정착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기존 시범사업 3개 사업장과 공사비 100억 이상, 잔여기간 1년 이상인 동부간선도로 확장, 도시철도 9호선 3단계, 천호대로 확장, 신림~봉천터널 도로건설공사 2공구 등 30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 시범사업을 전면 확대한다.
업무협약을 통해 시는 시범사업장을 선정하여 운영하고, 고용노동부는 전자카드 시범사업 관리, 전자카드와 건설업 기초안전 보건교육 수료증 및 외국인 취업인증 연계를 지원한다. 또한 건설근로자공제회는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 시스템 기능 개선 및 운영, 단말기 보급을 지원하고, 금융기관은 전자카드 발급 및 근로자 전용 금융상품 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시는 서울시가 운영하고 있는 대금e바로시스템과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시스템을 연계해 건설근로자의 근로일수 누락 또는 정확한 임금지급 여부를 감독관이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더불어 시와 건설근로자공제회는 전자카드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외국인 취업인정교육 연계를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시공사는 건설근로자 고용시 효율적인 업무처리, 건설근로자는 교육수료증을 지니고 다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제원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시범사업이 끝나는 내년 하반기에 운영 성과를 분석해 서울시가 발주한 모든 공사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근로자의 복리증진과 안전한 건설문화 정착을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