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당장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이하 전기차) 판매량 예상치를 기존의 70만대에서 40만대로 절반 가까이 줄였다.
이는 지난 해 판매량 33만대에서 약 21% 늘어난 수준에 불과하다. 그동안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몇 배씩 늘어난데서 급제동이 걸린 것.
협회는 이는 지난 해 일부 업체들이 전기차 보조금을 타내기 위해 판매량을 뻥튀기한 사실이 드러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정책도 손질하고 있다. 우선 불량업체를 솎아내기 위해 전기차 제조기술 기준을 강화했다.
지난달 공업정보화부는 '신에너지차 생산기업 빛 제품 진입 허가규정' 개정안을 발표해 전기차 생산업체가 갖춰야할 17개 기술을 제시했다. 중국 전체 200곳에 달하는 전기차 스타트업 중 새 규정에 부합하는 곳은 2곳에 불과하다고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공업정보화부가 전기차 스타트업 200곳 중 최대 10개만 남기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기차 스타트업 95%가 시장에서 퇴출된다는 뜻이다.
또한 논란이 많았던 보조금 정책 수정안도 이르면 이달 중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보조금 지급 기준을 높여 보조금 지원대상과 범위를 재조정해 기술경쟁력이 있는 기업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내년부터는 전기차 탄소권 거래제를 실시해 보조금 정책을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 각 전기차 업체에 매년 감축해야 할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할당해, 감축한 탄소배출량만큼 시장에서 내다팔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기차 보조금 액수도 점차 줄여나간다. 내년부터 현재 수준의 20%를, 2019년부터는 40%를 줄여 오는 2020년 완전 폐지하기로 이미 확정했다.
중국은 지난 2013~2015년 3년간 총 42만대에 484억 위안의 보조금을 지금했다. 1대 당 무려 11만5000위안(약 1885만원)을 보조금으로 지원한 것으로 이는 미국의 10배 달하는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