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9/19/20160919160124629588.jpg)
황교안 국무총리가 지난 7월 19일 사드배치와 관련한 긴급 현안 대정부질문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을 마치고 자리로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국회는 20일부터 나흘간 정치, 외교·통일·안보 , 경제, 교육·사회·문화 등 4개 분야에 걸친 대정부 질문을 진행한다.
국정감사를 코앞에 두고 시작되는 이번 대정부 질의에서는 야당의 송곳질의가 예상된다. 여당 역시 민생과 안보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방어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감 '전초전'인 셈이다.
19일 국회 의사국에 따르면 대정부 질문에 나서는 여야 의원들은 총 50명이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에서 각각 20명, 국민의당에서 8명, 정의당과 무소속 의원이 각각 1명씩 포함됐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국회 정책위의장실에서 대정부질문 대책회의를 비공개로 열고 질의내용 등을 점검했다. 추석 연휴 직전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8의 강진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안보위기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아 새누리당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특히 경주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김석기 의원이 긴급 대정부 질문자로 대체돼 지진 문제를 밀도있게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교육·사회·문화 부문에서 정태옥(대구 북갑) 의원을 대신해 질의에 나서기로 했다.
김 의원은 지난 1995년 일본 고베(神戶) 대지진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당시에 각각 오사카 총영사관과 도쿄에서 근무하며 대규모 지진을 직접 경험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의 대응태세 미비 등을 지적하며 안전책 마련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안보정당'으로서의 입지 다지기를 위한 질의에도 주력할 전망이다.
특히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계기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의 필요성을 피력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날 이어지는 '외교·통일·안보' 부문에서 여당의 질의자로는 국가정보원 출신으로 국회 정보위원장을 맡은 이철우 의원과 18대부터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위원이었던 윤상현 의원, 해군참모총장 출신의 김성찬 의원 등 전문가들이 두루 포진됐다.
반면 야당에서는 정부의 실정을 집중 추궁하며 '유능한 경제정당'의 면모를 세운다는 전략이다. 지진 사태에 대한 정부의 부실 대응과 가계부채 증가 등 민생 악화는 물론, 한진해운 사태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거취 논란 등을 차례로 꼬집을 전망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더민주는 이번 정기국회를 국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민생국회로 규정했다"며 정기국회에 임하는 자세를 밝혔다.
전월세 상한제 등 주거 문제, 사교육비 문제, 가계부채 문제, 청년일자리 문제 등 야당의 관점에서 보는 정부의 '민생' 정책 실패를 조목조목 짚어갈 것이란 설명이다.
우 원내대표는 "보수정권 9년 사이에 경제가 얼마나 파탄났는가에 대해서 점검하는 일을 먼저 선행하고, 그에 따라서 우리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수권정당의 면모를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목표"라며 "대정부질의, 국정감사 관리시스템을 원내대표와 수석이 직접 챙기고 점검해서 의원들을 지원하고 활동도 점검하는 시스템을 이전과 다르게 촘촘하게 준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