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심각한 성비불균형에 시달리고 있는 인도가 실리콘밸리에게 손을 내밀었다. 인도의 보건부는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구글로부터 태아의 성감별과 관련된 광고나 검색 등을 막는데 협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고 CNN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글은 인도의 방침에 따르겠다는 입장의 CNN과의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동시에 태아의 성별 결정, 감별 등에 대한 광고과 검색을 허락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비불균형이라는 민감한 이슈의 중요성을 숙지하면서, 시대에 역행하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우리의 기술이 사용되도록 할 것이다. 자동완성기능과 검색에서 성감별과 낙태에 대한 내용이 나오지 않도록 조치할 것이며, 관련된 내용을 검색할 경우 불법이라는 메시지를 뜨게하도록 할 것"이라고 구글 대변인은 말했다.
인도 법원은 검색 회사들에게 성 감별 성보도 광고를 금지하도록 압력을 넣고 있다. 이같은 인터넷 규제가 얼마나 효과를 낼 지는 확실치 않다.
남아선호사상으로 인도는 세계에서 성비불균형이 가장 심한 국가 중 하나다. UN에 따르면 인도는 남성은 여성보다 4300만명이 많다.
성감별을 통한 낙태를 금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성비불균형은 계속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이미 20년 전에 태아의 성별을 볼 수 있는 초음파 사용도 금지하는 등 여러 조치를 시행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대한 성비 불균형은 범죄 증가와 성추행, 폭행 등 여성을 상대로 하는 범죄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유엔은 2015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출생 뒤에서도 여아에 대한 차별은 지속되고 있다. "인도에서 출생 후 여아사망률이 더 높은 것은 영양이나, 예방접종 등에서 남아들 보다 못한 보살핌을 받기 때문이다"라고 UN은 보고서에서 발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