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하지만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연내 금리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함에 따라 한국은행이 향후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데 있어 부담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은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국내외 경제 상황을 지켜볼 것이란 전망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 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0.25~0.50% 수준으로 동결했다.
다만 옐런 의장은 동결 결정 이후 기자회견에서 "인상 여건이 강화됐다고 판단한다"면서 "최근 개선된 경제성장과 고용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진전이 이런 판단의 근거"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옐런 의장의 발언이 사실상 연내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연준이 오는 12월 회의에서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미국이 금리를 동결했지만 연내 인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한은의 운신 폭이 여전히 좁은 모양새다.
한은은 이날 오전 통화금융대책반회의를 열어 미국 금리동결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의 반응을 점검하고 국내 금융·외환시장 등에 미칠 영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신흥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금리 격차가 좁혀져 외국인 자본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소규모 개방경제국은 자본유출 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할 경우 우리의 실효하한 금리 수준이 올라갈 수 있다"면서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기축통화국보다 높아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역시 통화정책 운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한은은 2014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동안 가계부채는 200조원 넘게 늘었다.
더욱이 최근 은행권 대출 심사 강화 영향으로 대출수요가 비은행권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풍선효과'도 나타났다. 비은행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자 부담이 크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진 셈이다.
특히 미국 금리인상은 중장기적으로 국내 금리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계부채 폭탄의 뇌관을 건드릴 우려도 존재한다.
상황이 이렇자 한은 금통위에서도 가계부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함준호 한은 금통위원은 전일 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아져 금융안정 위험이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위한 통화정책이 자칫 금융안정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어 정책 운용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